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사진=연합뉴스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사진=연합뉴스

중동 정세가 급격히 악화하자 정부가 4일 점검회의를 열고 석유·가스 등 에너지 수급 및 가격, 수출·입, 공급망 등의 상황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무역보험공사에서 최남호 산업부 2차관 주재로 관계기관, 업계 등이 참여하는 종합상황 점검회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의 기관과 대한석유협회, 한국무역협회 등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중동 정세가 석유·가스 수급, 수출, 공급망 등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또 이스라엘 인근 홍해를 통과하는 국내 석유‧가스 도입 선박은 현재 대부분 우회항로를 확보해 정상 운항 중이며 물품의 선적 인도도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대(對)중동 수출 비중이 전체 수출의 3% 수준에 불과한 것도 이번 사태로 인한 영향이 제한적인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아울러 이스라엘 등 중동 국가에 의존도가 높은 일부 석유화학제품의 경우도 다른 나라로 부터 대체 수입이 가능해 국내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산업부는 파악했다.

다만 최근 지속되고 있는 국제유가 가격 상승세는 주시하고 있다.

공격 당일인 지난 1일 브렌트유 가격은 전일 대비 2.6% 상승한 배럴당 73.5달러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 2일에는 73.9달러로 0.5% 상승하는 등 석유 가격이 불안한 상황이다.

산업부는 향후 전개 양상에 따라 확전 또는 호르무즈 해협 통행 제한 등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분야별 비상 대응반을 통해 실시간 동향 모니터링 및 대응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4월 중동사태 발발 이후 설치한 종합상황실 및 에너지, 무역, 공급망 등 분야별 대응반을 통해 비상 연락체계를 유지하는 한편, 일일 점검 체계를 즉시 가동해 실시간 동향을 파악한다는 것이다.

최남호 2차관은 “중동 상황이 현재보다 더욱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면서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발생할 수 있는 위기 상황에 철저히 대비하고 신속 대응 체계를 유지해 둘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