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대표이사 김유원)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하는 ‘초거대 AI’ 관련 지원사업에 연이어 선정되며, 공공 분야에서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고 16일 밝혔다.

정부는 AI를 일상과 업무 전반에 활용하는 ‘AI 일상화’를 추진 중이며, 이를 위해 공공과 민간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초거대 AI’ 관련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번에 NIA의 '2024년 초거대 AI 기반 서비스 개발지원사업'과 '초거대 AI 플랫폼 이용지원 사업', 그리고 NIPA의 '2024년 초거대 AI 기반 학술활동 지원 사업'에 선정되며 이들 사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2024년 초거대 AI 기반 서비스 개발지원사업'은 공공 부문의 AI 활용을 촉진하고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을 가속화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8개의 과제가 선정되었으며, 네이버클라우드는 3개의 과제에 참여한다. 이 과제들은 공공 부문에서 AI를 활용해 효율성을 높이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사진=회사
사진=회사

네이버클라우드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초거대 AI 기반 통합 연구개발 지원 서비스'와 서울소방재난본부와의 협력으로 소방 안전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는 '스마트 소방 안전 서비스', 농촌진흥청과 함께 청년 농업인을 지원하는 '청년 농업인 특화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네이버클라우드는 NIA의 ‘2024년 초거대 AI 플랫폼 이용지원 사업’에서 공급기업으로 선정되어, 총 36개의 수요기관에 맞춤형 컨설팅과 PoC(개념증명)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NIPA의 ‘2024년 초거대 AI 기반 학술활동 지원 사업’에서는 AI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비타소프트, 인공지능학습용데이터 구축 기업 메트릭스,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인하대학교 한국학 연구소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학술 연구에 AI를 접목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25년까지 AI 인프라와 솔루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네이버클라우드는 ‘하이퍼클로바X’와 클라우드 인프라를 지원할 예정이다.

네이버클라우드의 이인성 공공 프로젝트 리더는 “이번 과기부의 다양한 초거대 AI 사업을 통해 공공기관과 중소기업이 AI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고 있다”며, “네이버클라우드는 앞으로도 공공 분야에서의 초거대 AI 서비스 개발과 도입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