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사진=윤주혜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사진=윤주혜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4월 위기설에 대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며 선을 그었다.

21일 이복현 원장은 서울 여의도 주택건설회관에서 열린 ‘부동산PF 정상화 추진을 위한 금융권‧건설업계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상반기 내에 시스템적 리스크 요인으로 건설사들의 유동성 위기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극히 낮다는 것을 확인했다. 유동성 문제는 저희도 벌써 2년째 모니터링 중이고 충분히 커버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최근 금감원에서 PF사업장 정상화를 위해 개편 작업을 진행 중인 사업장별 평가 기준안과 대주단 협약에 대해서는 “4월이 지난 뒤 저희가 준비 중인 PF 정상화 플랜을 외부에 공표할 예정”이라며 “5월부터는 해당 방안들이 실제로 집행돼 3~4분기부터 적절한 정상화 작업들이 본격적으로 집행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정상화 가능한 사업장에도 금융권이 과도한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는 건설업계의 우려에 대해서는 “연장해야 할 사업장과 안해야 할 사업장이 구분이 안된 채로 연장되다보니 만기가 짧은 대출을 쓰면서 사업장에 대한 이자율과 수수료가 높아진건데, 부실 사업장에 대해서는 연장이 안되도록 가격 조정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주요 PF 차환 과정에서의 수수료와 이자율 적정성에 대해 검사하고 있다. 4월 중으로 실태 파악을 끝낼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은행권의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자율배상 참여율에 대해서는 “아직 ELS 배상안 가이드라인이 발표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은행들이 법률적, 재무적 이슈들을 검토한 후 이사회나 주총에서 다양한 의사결정을 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본다”며 “개인적으로 보고될 정도로 기업 대 기업으로 정리된 의견이 전달된 것은 없다”고 전했다.

홍콩ELS 사태에 대한 금융권 제재에 대해서는 “배상안 일정 등을 보지 않고 원래의 속도대로 신속히 진행하려고 한다”며 “다음주부터 감독원 내에서 홍콩 ELS 사태의 원인이 무엇인지 점검하고 도출해내는 작업을 시행하려고 한다. 4~5월부터 제재 절차나 제도개선과 관련된 내용이 본격화되면서 지금보다 더 생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논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금감원이 NH금융지주, NH농협은행, NH투자증권에 대해 연이어 검사를 진행한 배경에 대해서는 “NH의 특성상 신용사업과 경제사업이 구분돼 있기는 하지만, 리스크가 명확히 구분돼 있는 지에 대해서는 고민할 지점이 있다”며 “자칫 잘못 운영될 경우 금산분리 원칙과 내부통제 규율체계가 상대적으로 흔들릴 조짐이 더 있어서 살펴본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