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건설 현장에서 청년층이 점점 없어지고 있는 가운데 관련 인력의 4명 중 1명꼴로 60대 이상의 고령층이라는 통계가 나왔다. ’자원은 없어도 있는 건 사람뿐’이라던 국내 건설 현장이 근무여건 악화에 ‘사람이 없다’는 아우성으로 전환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지난 7일 국토연구원과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한국부동산개발협회와 연 ‘부동산 시장 현안 대응을 위한 릴레이 세미나’에서 김지혜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건설 기능 인력 중 60대 이상의 비중이 25.7%고 평균 연령은 51.5세”라며 “고령화에 따른 생산성 하락과 안전 문제 발생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할 사람이 부족해 고령 인구로 건설 현장이 채워지고 있는 이유는 임금 체계와 같은 근무여건이 열악하기 때문이다. 건설 현장 인부들의 임금 기준은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하는 건설업 임금실태 조사보고서의 시중 노임 단가에 따라 결정되는데, 지난달 발표된 관련 자료에 따르면 철근공과 비계공이 받게 될 올해 상반기 일당은 지난해 하반기보다 되레 줄었다. 철근공은 26만1936원에서 26만137원, 비계공은 28만1721원에서 28만472원으로 감소했다.
그동안 건설 분야는 몸은 힘들어도 일용직치곤 수당이 다른 분야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아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짧은 기간에 용돈을 벌려는 청년들이 찾던 업종이었다. 그러나 건설업의 근무여건은 제자리 걸음인데 코로나 이후 택배와 배달 등 다른 일거리가 증가해 현장에 뛰어드는 청년은 크게 줄었다.
이렇게 생긴 빈 자리는 장년층과 대부분 불법 체류자인 외국인 노동자가 메우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는 의사 소통이 힘들고 장년층은 신체 능력이 떨어져 부실 공사와 같은 안전사고 위험을 키운다.
김 부연구위원은 “건설현장의 기술인력 확보를 위해 건설산업 근무여건 개선과 고용지원∙인센티브 등 정부지원 확대, 교육훈련과 같은 인재양성을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