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8년까지 국내 쌀 가공산업 시장을 17조원 규모로 늘려 수출액을 4억 달러(약 5400억원)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청사진이 제시됐다.
23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제3차 쌀가공산업 육성 및 쌀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계획(2024∼2028)'에 따르면 쌀 가공산업 시장규모는 지난 2018년 6조 3000억원에서 2022년 8조 4000억원으로 33.3% 성장했으며 같은 기간 수출액도 8900만 달러에서 1억 8200만 달러로 2배를 상회한 것으로 집계됐다.

농식품부는 오는 2028년 쌀 가공산업 시장규모와 수출액을 각각 2022년의 2배 이상으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간편 가공 밥·죽을 비롯해 도시락·김밥, 떡볶이, 냉동 떡, 쌀 증류주, 쌀 음료, 쌀국수, 혼합 면 ,쌀빵, 쌀과자 등 '쌀 가공산업 10대 유망품목'을 선정한뒤 집중 지원에 나선다.
또 가루 쌀의 생산·유통체계를 구축한뒤 식품·외식업계와 협력해 제품개발에 나서는 동시에 오는 2027년까지 수입 밀가루 수요의 10%(20만t)를 가루 쌀로 전환한다는 목표다.
농식품부는 가공용 쌀 소비량을 2022년 57만t에서 오는 2028년 72만t으로 늘리는 한편 2028년까지 한국글루텐프리인증을 받은 기업을 100곳으로 육성하고 해외 주요 글루텐프리 인증을 받은 쌀 가공업체도 2028년 30곳으로 확대한다.
또 수출국·품목별로 특화전략을 수립해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쌀 가공식품 수출 대표업체를 200곳으로 육성하는 한편 증가추세에 있는 국내 체류 외국인의 소비추이를 감안해 인디카 쌀 재배단지 조성도 추진한다.
전한영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최근 해외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냉동 김밥과 떡볶이 등 쌀 가공식품의 국내·외 마케팅을 지원하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