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권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잔액이 131조원을 돌파하고 연체율은 2%를 넘어섰다. 새마을금고의 PF 부실 리스크로 예금 인출 사태가 벌어진 후 금융당국이 시장 안정을 위해 PF 관리에 나서고 있지만 곳곳에서 위험 신호가 발견되는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이 20일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131조6000억원이다. 지난해 12월 말에는 130조3000억원이었으나 3개월 만에 1조3000억원이 늘었다.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2020년 말까지 92조5000억원으로 100조원을 넘지 않았다. 2021년 말 112조9000억원을 기록한 뒤 매년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부동산 시장 침체로 수익성이 악화하고 자금 회수에 문제가 생긴 부동산 PF 사업장이 늘면서 연체율도 심각한 수준으로 오르고 있다.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올해 3월 말 기준 2.01%로 지난해 12월 말(1.19%)보다 0.82%포인트(p) 급등했다.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2020년 말 0.55%, 2021년 말에는 0.37% 수준이었는데, 올해 3월 말에는 2%를 훌쩍 넘었다.
증권사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이 최악인 상황에서 PF 대출 잔액이 증가하고, 연체율마저 2%를 넘었다는 건 사업장 곳곳에서 문제가 심각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말과 비교해 올해 3월 말 부동산 PF 대출 잔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업종은 은행으로 2조2000억원이었다. 증권도 8000억원 증가했다. 보험과 저축은행은 각각 4000억원, 여신전문금융사는 7000억원 감소했다.
일부 증권사는 부동산 PF 부실 규모가 한계점을 넘어선 것으로 보여 강력한 선제적 채무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증권사의 부동산 PF 연체 잔액은 1분기 기준 8404억원으로 4657억원이던 지난해 말보다 두 배 가까이 늘었다. PF 대출 연체율은 15.88%로 2020년 말 3.37%, 2021년 말 3.71%에 비해 10%포인트(p) 넘게 올랐다. 지난해 12월 말 10.38%와 비교해도 5.5%포인트(p) 뛴 수치다.
부실자산을 의미하는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급상승했다.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지난해 말 6638억원에서 올해 1분기 1조468억원으로,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지난해 말 14.8%에서 1분기 19.8%로 높아졌다.
올해 3월 말 저축은행과 여신전문금융사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각각 4.07, 4.20%로 지난해 말보다 각각 2.02%포인트(p)와 1.99%포인트(p) 상승했다. 증권사와 더불어 저축은행과 카드사, 캐피탈사 등도 위험한 상황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부동산 PF 대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은행의 연체율이 0%라는 점이다. 보험사와 상호금융의 연체율도 각각 0.66%와 0.10%로 양호한 수준이다.
윤창현 의원은 "새마을금고 인출 사태에서 보듯 시장은 정부의 대책을 기다려 주지 않는다"면서 "일부 증권사의 부실 규모는 임계치를 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선제적 채무조정에 돌입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