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양자산림협력 체결국가를 43개국으로 확대하고 국외 온실가스 감축실적 500만톤을 확보하는 동시에 연간 임산물 수출액 6억 달러를 달성하겠다는 미래 청사진을 내놨다.

산림청이 23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발표한 제2차 국제산림협력 추진전략에 따르면 국제산림협력 강화로 글로벌 중추국가를 실현하는 동시에 국외 온실가스배출권 확보와 임산물 수출확대 추진 내용이 대거 포함됐다.

남성현 산림청장.출처=산림청.
남성현 산림청장.출처=산림청.

우선 기존 양자산림협력 대상을 아시아 중심에서 중남미와 아프리카 지역까지 넓혀 43개국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987년 인도네시아와의 임업협력 체결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38개국과 양자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오는 2030년까지 레드플러스(REDD+)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실적 500만톤을 확보할 예정이다. 

산림청은  2027년까지 연간 임산물 수출액 규모 6억 달러를 달성한다는 전략이다. 한국의 연간 임산물 수출액은 지난해 4.8억 달러까지 지난 10년간 증가추세를 보였지만 최근 수출여건은 악화상태에 놓였다. 이에 새 임산물 전략품목을 발굴하고 유럽연합과 동남아 등 수출 신시장 개척에 나선다.

산림청은 목표 달성을 위해 4가지 전략을 수립한 가운데 우선, 산림을 대한민국 국제협력의 핵심과제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이에 ▲국토녹화 비결 기후변화 대응 산불협력▲산불피해지 등 산림복원▲산림복지▲해외산림탄소배출권 확보 등을 5대 국제산림협력 중점분야로 설정했다. 산림 공적개발원조 사업내용을 다변화하고 지원대상 국가 역시 중남미나 아프리카 등으로 확대한다.

둘째, 산림분야 국외 감축사업 및 해외산림자원 개발 확대를 추진한다. 준국가 규모 이상의 레드플러스 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정부와 민간의 공동참여 여건을 조성한다.

해외산림자원의 개발 범위를 코르크나 대나무 및 산림탄소를 포함하는 비목재 임산물까지로 확대하고 정책자금을 지원한다.

셋째, K-임산물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는 물론 시장 다변화 촉진에 나선다. 합법목재 교역 촉진제도와 관련해 운영을 확대한다.

수입 목재의 합법성 검토 대상을 기존 4개 품목에서 단판을 포함해 성형목재, 파티클보드, 섬유판, 펄프 등 5개 품목을 추가한다는 계획이다.

끝으로, 아시아 산림협력 리더십을 강화하고 남북 그린데탕트 견인에 착수한다. 아시아산림협력기구의 ‘제2차 전략계획 수립’을 지원한다.

또 한국의 산림협력모델을 아시아산림협력기구 협력사업에 반영해 산림정책과 기술을 아시아에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올해 국토녹화 50주년을 맞이하는 해에 산림을 통해 글로벌 가치 실현을 비롯해 국정과제 이행, 국익 창출을 위한 국제산림협력 중장기 전략을 수립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