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폐공사는 위·변조방지 기술을 활용해 브랜드 보호 솔루션까지 서비스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7일 조폐공사에 따르면 브랜드 보호를 위해 지난해 공급한 위·변조방지 기술이 적용된 보안라벨과 패키지가 총 9600만장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조폐공사 대전본사 전경.출처=한국조폐공사
한국조폐공사 대전본사 전경.출처=한국조폐공사

주요 공급처는 수출 지역특산품 2700만장을 포함해 중소기업유통센터의 브랜드 제품  1600만장, 판판면세점 1100만장, 수출 화장품 1800만장 등이다. 지난 2020년 3500만장을 시작으로 2021년 5500만장 등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이는 국내 수출기업 제품의 가짜, 짝퉁, 위조 등 피해사례가 늘면서 기업들의 브랜드 보호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조폐공사는 또 중국 농산품이 한국산 제품으로 둔갑하는 원산지 위반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 배를 비롯해 성주 참외, 상주 곶감, 홍삼 등에 보안라벨을 부착해 오고 있다.

올들어 온라인 기반 명품사업 회사들과 짝퉁 유통방지를 위한 사업에 나서기도 했다.

조폐공사는 화폐제조 과정에서 축적한 위변조방지 기술을 활용해 라벨, 포장패키지, 포장용지, 품질보증서 등 개발에 한창이다.

또 특수물질을 활용해 플라스틱, 비닐, 섬유 소재 등으로 적용범위를 확장중이다. QR 정보를 활용한 정품인증 솔루션까지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반장식 조폐공사 사장은 “위·변조방지 기술을 고도화해 짝퉁으로부터 한국제품을 보호하고 중소기업의 수출을 지원해 나갈 것” 이라며 “짝퉁없는 신뢰사회 구축은 조폐공사의 사명”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