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자가 이커머스 플랫폼에 입정하면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조사가 나왔다. 나아가 수수료에 대한 입체적인 인식이 필요하며, 플랫폼의 순기능에 더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스타트업얼라이너스는 지난 10일 서울글로벌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온라인 플랫폼 활용가치와 수수료' 세미나를 열어 이키머스 입점 전략을 논의했다.
이커머스 판매 수수료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무난하다는 평가다. 첫번째 발제에 나선 부수현 경상국립대학교 교수는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를 발표하며 소상공인의 80.8%가 플랫폼의 판매수수료 부과가 타당하다고 평가한다며 “전체 매출 대비 플랫폼의 매출 기여도가 높거나 플랫폼이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판매자일수록 판매수수료가 타당하다고 평가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판매수수료율이 적절하다고 응답한 소상공인은 21.7%였으며, 현재보다 더 높은 수수료율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소상공인도 14.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랫폼 입점이 현실적인 수익 상승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도 눈길을 끈다.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가치와 수수료’를 주제로 발제한 김지영 성균관대학교 교수는 플랫폼 입점 여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매출과 비용에 대한 시나리오들을 비교분석했으며 그 결과, 배달 플랫폼에 입점하는 경우 미입점시에 비해 판매자의 기대수익이 0.13~40.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따르면 이커머스 플랫폼에 입점하는 경우 미입점 대비 판매자의 144%~15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판매자는 미입점 시에 비해 플랫폼 입점시 최대 2.57배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으로 인한 비용 절감, 시장 확장, 마케팅 효과가 판매자의 기대수익 증가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한편 종합토론에서는 플랫폼 전략 전반의 로드맵 접근에 대한 메시지들이 나왔다. 특히 수수료에 대한 입체적인 상황인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김태경 광운대학교 교수는 "플랫폼이 없던 과거에는 정보와 서비스가 오가고 신뢰를 구축하는데 드는 비용을 각자가 부담해야 했으나 이젠 플랫폼을 통해 이러한 부담에서 자유로워졌다”면서도 "적정한 수수료 수준에 대한 합의는 시장 요소 외에도 소상공인의 현실 등과 복잡하게 얽혀 어려운 문제"라고 밝혔다.
이화령 KDI 연구위원은 “플랫폼이 오히려 전통사업자보다 수수료를 크게 올릴 유인이 적다”며, “수수료가 올라가 이용자가 줄어들면 간접 네트워크 효과로 소비자 수도 줄어드는 나쁜 피드백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이현재 우아한형제들 이사는 "수수료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플랫폼이 주는 가치와 효용이 수수료에 부합되는지 생각해야 한다"면서 "플랫폼이 생기기 이전과 이후의 경제적 효용 차이를 살펴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