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영향으로 최고점을 찍었던 해운 운임이 급락하고 있다. 물동량이 줄어 운송단가가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은 해운업계의 ‘피크아웃’이 현실화에 우려하고 있다. 정부도 3조원의 예산과 함께 대책을 내놨지만 아직은 더 지켜봐야 한다는 기류가 강하다.
해운 운임 하락
컨테이너 시황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 운임지수(SCFI)는 하반기 내내 연속 하락세다. 중국 상하이해운거래소에 따르면 SCFI는 이달 7일 기준 1579.21를 기록했으며 올해 1월 5109.6으로 정점을 찍은 후 1년이 되지 않아 1500선으로 폭락했다. 지난 6월 초 잠깐 오름세를 보이다 하반기 들어 21주 연속 하락 중이다.
SCFI는 상하이 컨테이너 운송 시장에서 거래되는 15개 항로의 운임을 반영한다.
지수 하락은 세계에서 움직이는 물동량이 그만큼 줄었다는 걸 의미한다. 중국 정부의 코로나19 봉쇄 정책으로 물동량이 확연하게 줄어든 것이 결정타다. 여기에 글로벌 경기침체도 한 몫 했다.
통상 연말은 블랙프라이데이나 크리스마스 특수로 해상 물동량이 늘지만, 올해는 그렇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이 짙다. 증권가는 글로벌 경기 하락세가 내년, 혹은 내후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내다본다.
정부 긴급 조치
시장의 우려가 계속되자 정부도 칼을 뽑았다. 3조원의 예산과 함께 해운업 도산을 막겠다며 각종 예방책을 들고 나왔다. 해양수산부의 대책은 오락가락하는 운임에 크게 흔들리는 중소선사를 보호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해수부는 핵심 추진과제로 ▲3조원 규모 경영안전판 마련 ▲해운시황 분석·대응 고도화 ▲ 해운산업 성장기반 확충 ▲친환경·디지털 전환 선도 등 4가지를 추진한다.
1조원 규모의 위기대응펀드를 조성한다. 중소선사를 대상으로 투자 요율과 보증 요율을 대폭 인하해 2천500억원을 지원한다. 유동성 위기 발생 시 신속한 지원을 위해 5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안정자금도 운영한다.
해양진흥공사는 2026년까지 약 1조7000억원을 투입해 최대 50척의 선박을 확보하고 국적선사에 임대하는 공공 선주사업도 추진한다.
업계가 주로 활용되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한국의 해운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고 판단해 ‘한국형 컨테이너 운임지수(KCCI)’를 개발했으며 이달부터 매주 공표한다.
업계 관계자는 “사실상 상반기 5000이 넘는 운임은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비정상적 운임으로, 현재는 운임이 제대로 돌아오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럼에도 급작스런 변동엔 중소 선사가 크게 흔들릴 수 있어 이번 정부의 대책은 그들에게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한국형 컨테이너 운임지수 KCCI의 경우 장기적 관점으로는 국내 중소선사 보호에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이러한 정책도 근본적인 해결방안은 아니라는 말이 나온다. 환율과 금리 변동 등에 따라 세계적으로 물동량 자체가 줄어든 것이 해운 운임 하락의 결정타기 때문이다. 결국 글로벌 경제가 살아나야 한다. 업계의 시름이 깊어지는 이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