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바이젠셀
출처=바이젠셀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 바이젠셀(308080)은 유럽 최대의 제약바이오 분야 기술협력의 장으로 불리는 바이오 유럽(BIO Europe) 2022에 참석한다고 18일 밝혔다.

바이젠셀은 이번 바이오유럽 2022에서 1대1 미팅을 통해 연구개발중인 파이프라인과 기술력을 강조해 파트너링을 추진할 계획이다. 바이젠셀은 현재 ‘바이티어’, ‘바이메디어’, ‘바이레인저’ 등 3가지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9개의 파이프라인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이번 바이오유럽 2022는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개최되며, 오는 24~26일(현지시간) 진행된다. 세계 각국의 제약바이오 기업 경영진 및 사업개발부서, 기관투자자 등이 주 참가대상이다. 올해는 60여 개국 4000여명 이상의 산업 관계자 참여가 예상된다. 행사는 오프라인 종료 이후 11월 2~4일(현지시간) 중 온라인에서도 개최된다.

회사 측에 따르면 바이티어는 항원 특이 살해 T세포치료제 플랫폼으로 표적항원에 따라 다양한 CTL(세포독성T림프구)을 생산할 수 있어 표적질환 확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대혈 유래 골수성 억제세포(MDSC) 치료제인 바이메디어는 과도한 면역반응의 자가면역질환이나 과민성질환 치료에 활용 가능한 플랫폼 기술이다. 바이젠셀은 바이메디어를 통한 최적의 배양조건 원천기술로 MDSC 대량 배양에 성공한 바 있다.

바이레인저는 독자적인 대량 기술의 감마델타T세포를 이용한 동종세포치료제다. 동종 면역반응이 낮아 범용(Off-the-shelf) 치료제로 개발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바이젠셀은 바이티어와 바이메디어, 바이레인저 플랫폼 및 바이젠셀의 다양한 기술경쟁력을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에게 소개하는 미팅을 가질 예정이다. 또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해 상업화에 나설 계획이다.

김성종 바이젠셀 사업개발그룹장은 “바이오유럽 2022 행사기간 동안 세계 각국의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활발한 논의를 가질 예정”이라며 “글로벌 시장에 바이젠셀의 기술력을 널리 알려 빠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바이젠셀은 상반기에 미국암연구학회(AACR), 미국면역학회(AAI), 바이오USA 등에 참석해 자사의 파이프라인과 기술을 소개한 바 있다. 11월 개최 예정인 SITC에도 연구결과 초록이 채택돼 포스터 발표를 앞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