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공주간 광역 BRT(간선급행버스체계) 개발사업이 본 궤도에 오르면서 행복도시권 대중교통 체계가 개선될 전망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충남도, 세종시, 공주시 등과 세종~공주 광역BRT사업 추진 개발계획이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했다고 5일 밝혔다.

세종~공주 광역BRT 운행 노선도.출처=행복청
세종~공주 광역BRT 운행 노선도.출처=행복청

이번 개발계획을 보면 세종∼공주 광역 BRT노선의 총 길이는 18.5km이고 사업비는 172억원이 투입된다. 주요 노선은 세종시 한별동~세종충남대병원~정부세종청사~국도36호(서세종IC)~공주 신관초교~번영1로~신관 중앙교차로~공주종합버스터미널 구간이며 총 12개 지점에서 정류장을 경유한다.

행복청은 오는 11월 실시계획 수립용역에 착수한뒤 내년까지 실시계획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2024년도 상반기에는 정류장 설치와 도로 확·포장 등 공사에 착수하고 2025년 하반기에 BRT를 운행할 예정이다.

세종∼공주 광역BRT 노선은 BRT 전용차로 비율이 97%에 달해 기존에 세종과 공주간 운행중인 기존노선 버스대비 통행속도는 19.8km/h에서 27.9km/h로 8.1km/h가 빨라진다. 또 이동시간도 기존 57분에서 39분으로 약 20분 가량 단축된다.

또 출퇴근시간에는 배차간격을 8분 이내로 계획하는 한편 첨단기능과 편리성을 갖춘 정류장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최임락 행복청 차장은 “세종~공주간 교통수요는 매년 증가했으나 운행시간 및 배차간격으로 인해 시민들이 대중교통 이용에 많은 불편을 겪었다”면서 “기존 승용차 중심 교통체계에서 탈피해 광역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는 동시에 충청권 상생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