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CU
출처=CU

[이코노믹리뷰=편은지 기자] 최근 편의점이 MZ세대를 중심으로 신상품 구매 비중이 크게 증가하며 기존의 유통 공식이 깨지고 있다. '스테디셀러 20%가 전체 80% 매출을 차지한다'는 2대 8 파레토 법칙도 이젠 옛말이 됐다.

29일 CU에 따르면 최근 10년 간 신구(新舊) 상품 매출을 분석한 결과 전체 매출에서 출시 1년 이내 신상품들이 차지하는 매출 비중이 과거 5년(2012년~2016년) 동안 불과 13.7%에 그쳤으나 최근 5년(2017년~2021년)은 이보다 4.6%p 증가한 18.3%를 기록했다. 편의점 고객 5명 중 1명은 신상품을 구매하는 셈이다.

이같은 모험 구매는 소비시장 주류로 급부상한 MZ세대에서 가장 활발했다. CU의 신상품 구매 연령대별 비중을 살펴 보면 MZ세대로 불리는 20대와 30대가 각각 41.4%, 35.5%로 가장 높은 민감도를 보였다. 이어 40대 14.0%, 10대 5.6%, 50대 이상 3.5% 순이었다.

모험 구매 확대로 편의점 상품 매출 지형도도 바뀌고 있다. 편의점은 소형 유통채널이라는 태생적 특징으로 그동안 스테디셀러에 대한 매출 쏠림 현상이 두드려졌으나 최근 몇 년간 신상품들의 매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기존 흐름에도 변화가 생겼다. 실제 CU에서 과거 5년동안 전체 매출 80%를 약 830개 제품이 차지했다면 최근 5년(2017년~2021년) 동안은 1,000여 개로 20.5% 증가했다. 

신상품 매출 증가로 점포 수익성도 높아졌다. CU에서 지난 3분기 담배 매출 구성비는 작년 40.1%에서 올해 38.4%로 떨어졌고 주류, 스낵, 유제품 등 가공식품 매출 구성비는 41.4%에서 44.3%로 증가했다.
 
진영호 BGF리테일 상품본부장은 “편의점은 트렌드 반영이 가장 빠른 소비채널로서 새로운 변화를 원하는 MZ세대들로 인해 이전보다 신상품의 주목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며 “CU만의 뛰어난 신상품 발굴을 위해 MZ세대 마케팅 혁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