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김화평 기자] SK이노베이션(096770)이 오는 16일 배터리·석유개발(E&P) 사업 분할 승인을 위한 임시주주총회를 앞둔 가운데 국민연금이 SK이노베이션의 물적 분할에 반대한다고 14일 밝혔다.
국민연금기금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는 이날 오후 16차 위원회를 열고 SK이노베이션 임시주총 안건의 의결권 행사 방향을 심의하고 이같이 결정했다. 국민연금은 올해 6월30일 기준 SK이노베이션 지분 8.05%를 보유한 2대 주주다.
전문위원회는 “분할계획의 취지와 목적에는 공감하나 배터리 등 핵심사업 부문 비상장화에 따른 주주가치 훼손 우려가 있어 반대를 결정했다”며 “다만 일부 위원들은 이견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SK이노베이션은 지난달 3일 이사회를 열고 배터리 사업과 E&P사업이 성장 가능성과 경쟁력을 충분히 인정받고 있고, 기업가치 제고에 필요하다고 판단해 각각 분할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임시주주총회의 승인을 거친 후 다음달 1일부로 신설법인 ‘SK배터리(가칭)’와 ‘SK이엔피(가칭)’를 각각 공식 출범시킬 계획이다.

SK이노의 꿈은?
SK배터리는 전기차용 중대형 배터리, BaaS(Battery as a Service), ESS(에너지 저장장치) 사업을, SK이엔피는 석유개발 생산·탐사 사업, CCS(탄소 포집·저장)사업을 각각 수행하게 된다.
이미 특허청에 상표권도 출원한 상태다. 배터리 회사 사명 후보로는 SK온(on), SK배터러리(betterery), SK넥스트(next) 등이 올랐다. 석유개발 회사 사명으로는 SK어스온(SK earthon)을 출원했다. 현재 다양한 사명 후보들을 놓고 검토 중이며 최종 선정 과정에서 새로운 이름이 선택될 가능성도 있다.
두 사업의 분할은 SK이노베이션이 신설 법인의 발행주식 총수를 소유하는 단순·물적 분할 방식이다. SK이노베이션이 신설법인 지분 100%를 각각 갖게 되며 분할 대상 사업에 속하는 자산과 채무도 신설되는 회사로 이전된다.
특히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꼽히는 배터리 사업 분사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이 기존 주주가 신설법인의 지분을 동일한 비율로 갖는 인적분할이 아닌 물적분할을 선택한 것은 향후 기업공개(IPO)를 통해 투자금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IPO는 배터리 사업이 흑자전환 하는 내년에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12월 LG화학이 LG에너지솔루션을 물적분할 후 IPO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과 닮아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 물적분할처럼 국민연금의 반대표 결정에도 임시주총에서 안건이 통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우려는 여전"
배터리 사업부가 분할되면 SK이노베이션의 자체 역량이 약해질 것이라는 투자자들의 우려도 만만치 않다. 모회사가 지분을 100% 보유해야 자회사 성장에 따른 이익을 모회사 주주들이 누릴 수 있는데, 자회사가 IPO에 나서면 지분이 희석돼 기존 모회사 주주들의 이익이 훼손될 수 있다. LG화학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분사될 당시에도 비슷한 논란이 벌어진 바 있다.
배터리 사업 분할 계획을 처음 내놓은 7월1일 SK이노베이션 주가는 8.8% 내린 26만9,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후로도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주가 회복 속도가 더딘 상황이다.
9월14일 SK이노베이션은 25만6,000원에 장을 마쳤다. 현재 일부 SK이노베이션 주주들은 인터넷 주주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물적분할에 반대표를 행사하자’는 운동도 벌이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이 주주들을 달래기 위한 주주환원정책을 내놓을지 기대가 모아졌으나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없는 상황이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오는 16일 임시주총에서 자회사 현물배당 지급 정관 변경 등을 승인할 예정이며 이외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