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리뷰=도다솔 기자] SK종합화학이 유통업계, 캠핑업계 등과 협력해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친환경 플라스틱 제품을 개발하는데 속도를 높이고 있다.
흔히 논밭의 마시멜로, 또는 공룡알이라고 불리는 ‘곤포 사일리지’는 재배·수확을 마친 작물의 영양소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당 작물을 흰색 비닐(곤포)로 여러 겹 감아 포장한 것을 말한다.
하지만 곤포 사일리지에 사용되는 비닐은 접착력이 강한 특성 때문에 재활용이 어려워 사용 후 농가에 그대로 방치되거나 논 또는 밭에서 자체 소각돼 화재 발생과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이렇게 버려지는 사일리지용 폐비닐은 국내에서만 연간 약 1,200톤 규모에 달한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K종합화학의 협력사인 동민산업은 논과 밭에 버려지는 폐사일리지의 약 50%를 수거하고 있다. SK종합화학은 이 중 일부를 재활용해 새로운 제품으로 재탄생시키고 있다.
SK종합화학은 폐사일리지와 신재(Virgin plastic)를 혼합해 사일리지 업사이클 원단을 만들어낸다. 폐사일리지가 작은 알갱이 형태의 사일리지로 다시 태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펠레타이징(Pelletizing)’이라고 하며 이 과정에서 특유의 냄새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없애는 것이 폐사일리지 업사이클 기술의 핵심이다.
SK종학화학은 냄새를 제거해 사일리지 업사이클 원단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 원단은 고성능 폴리에틸렌인 넥슬렌을 담는 포대를 제작하는 데 활용된다.
넥슬렌은 SK종합화학이 2010년 말 국내 기업 최초로 촉매·공정·제품 생산 등의 전 제품 생산 과정을 100% 독자기술로 개발한 고성능 폴리에틸렌 소재로, 주로 섬유, 페트병 등의 제품 생산과정에 사용된다.
이 업사이클 포대는 기존의 포대가 100%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m-LLDPE으로만 만들어지는 것과 달리 m-LLDPE 65%와 사일리지 업사이클 원단 35%를 혼합해 기존보다 약 25%의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가 있다.
SK종합화학은 “사일리지 업사이클링 원단은 표면이 코팅돼 있어 내구성과 탄성 복원 능력이 뛰어나며 이 원단으로 제작한 완제품은 반복적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SK종합화학은 넥슬렌 외에도 SK종합화학이 생산하는 화학 소재인 ‘SK폴리머’의 해외 수출용 포장재를 만드는데 사일리지 업사이클 원단을 적용할 예정이다.

앞서 SK종합화학은 지난 5월 매일유업, 테트라팩코리아, 주신통상과 국내최초로 멸균팩에서 플라스틱·알루미늄 복합소재(이하 복합소재)를 뽑아내 재활용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 프로젝트가 마무리되면 연간 3,000톤 규모의 복합소재가 재활용되고 연간 1만9,000톤의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나무 25만 그루를 심어 나타나는 효과와 맞먹는다.
현재 SK종합화학은 멸균팩을 재활용해 물류용 파렛트, 옷걸이 등을 제작하고 있으며 멸균팩의 구성 성분 중 재활용이 어려운 폴리알루미늄(PolyAl)을 활용해 제작한 옷걸이를 국내외 패션 브랜드와 워커힐 호텔앤리조트 등에 납품할 계획이다.
아울러 SK종합화학이 등산·캠핑 전문 브랜드인 ‘미니멀웍스’와 버려진 플라스틱을 업사이클 폴딩박스로 재탄생시켰다.
SK종합화학은 기존 플라스틱과 동일한 물성을 지닌 재사용 폴리프로필렌(R-PP)을 개발해 미니멀웍스의 업사이클 제품인 ‘폴딩박스 에코’에 적용했다.
SK종합화학은 “R-PP는 강도 등 물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기존 플라스틱 소재와 비교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50~80%까지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인 소재”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