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리뷰=박정훈 기자] 코로나19의 여파가 지난 1년 이상 지속되면서, 골목상권이 막다른 골목에 내몰리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골목상권 자영업자(521명 응답)를 대상으로 ‘2021년 상반기 골목상권 현황 및 하반기 전망 조사’를 12일 발표했다. 그 결과, 골목상권 자영업자 열 명 중 여덟 명(78.5%)은 올해 상반기 매출액이 지난해 상반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액 기준으로는 평균 21.8%의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 매출액 감소폭은 옷가게‧화장품가게‧꽃가게(25.8%), 식당·카페 등 음식점(25.2%). 노래방‧세탁소 등 기타업종(24.9%), 미용실‧피부관리소(24.5%), 슈퍼마켓·편의점·정육점 등 식료 소매점(19.9%), 부동산·인테리어·자동차수리점 등 개인서비스(19.4%) 그리고 학원(16.3%. 예체능 포함) 순이었다.
올해 상반기 매출액이 작년 상반기 대비 감소했다고 응답한 자영업자들은 그 이유에 대해 ‘코로나19 지속으로 골목상권 경기 악화(58.2%)’를 가장 많이 꼽았다. 그 외로는 ‘같은 상권 내 동일 업종 간 경쟁 심화(16.2%)’, ‘경쟁 상권 활성화로 해당 상권 침체(15.7%)’ 등을 이유로 응답했다.

골목상권 자영업자 중 73.5%, 올해 상반기 순이익 감소
같은 조사에서 골목상권 자영업자의 73.5%는 올해 상반기 순이익이 지난해 상반기보다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순이익 금액 기준으로는 평균 17.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순이익 감소폭은 노래방‧세탁소 등 기타업종(21.5%), 옷가게‧화장품가게‧꽃가게(20.6%),식당·카페 등 음식점(19.7%), 미용실‧피부관리소(19.7%), 부동산·인테리어, 자동차수리점 등 개인서비스(16.1%), 슈퍼마켓·편의점·정육점 등 식료 소매점(14.8%) 학원(14.2%) 순이었다.
올해 상반기 순이익이 감소하였다고 응답한 자영업자들은 그 원인으로 매출 감소(56.6%), 원재료비 상승(13.6%), 인건비 상승(13.0%), 공과금 상승(7.2%), 임차료 상승(6.7%) 등을 순이익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의 44.9%, 코로나 이후 고용인원 감소
골목상권 경기 악화는 일자리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조사에 응답한 자영업자의 33.6%는 작년 상반기 대비 고용인원이 감소했고, 62.9%는 변동이 없었다. 고용인원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3.5%를 기록했다.

고용원의 유무에 따라 구분해 살펴보면, 현재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의 44.9%는 작년 상반기 대비 고용인원이 감소했고, 49.6%는 변동이 없었다. 고용인원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5.5%로 나타났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중에서는 작년 상반기 대비 고용인원이 감소하였다고 응답한 비율은 16.3%였고, 83.7%는 고용인원에 변동이 없었다.
백신접종 확대·인건비 부담 완화 등 대안 필요
골목상권 자영업자들은 올해 하반기 골목상권 경기도 어두울 것으로 전망했다. 응답 자영업자 중 과반인 65.3%가 올해 하반기 매출이 작년 하반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고, 금액 기준으로는 평균 11.7%의 감소를 전망했다.

자영업자들은 골목상권 경기 활성화를 위해 백신 접종을 통한 집단면역 및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35.2%), 최저임금 인상 자제 등 인건비 부담 완화(23.7%), 전기‧수도요금 등 공공요금 부담 완화(16.5%) ‣보조금 지급, 금융지원 등을 통한 신규 창업 활성화(15.5%), 골목상권 업체 대상 사업 컨설팅 지원(8.3%)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자영업자 손실보상제에 대해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 국가 정책으로 인해 발생한 손해를 보전하기 위해 법제화 필요(42.8%), 손실보상보다는 세금‧공공요금‧인건비 부담 완화 필요(31.3%),자영업자 손실 보상은 필요하나 법을 통한 의무화는 불필요(22.1%), 손실 보상 불필요(3.3%) 등의 의견들이 나왔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본 조사가 최근 델타 변이 등 코로나 재확산 이전에 시행됐음을 고려할 때, 현재 자영업자들이 느끼는 하반기 전망은 이번 조사결과보다 더욱 악화되었을 것”이라면서 “신속한 집단면역 형성과 거리두기 완화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면서, 최저임금 인상 자제, 공공요금 할인‧지원 등 골목상권의 부담을 경감하는 정책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