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내셔널 우크라이나 곡물터미널 전경. 출처=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 우크라이나 곡물터미널 전경. 출처=포스코인터내셔널

[이코노믹리뷰=이가영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이 오는 2030년까지 식량 사업을 핵심 사업으로 육성, 글로벌 톱 10 식량종합사업회사로 도약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오는 2030년까지 곡물 취급량을 현재 800만톤에서 2,500만톤 규모로 확대, 관련 매출액 10조원을 달성하겠다고 14일 밝혔다. 

이를 위해 우크라이나 곡물기업과 공동으로 추가 물량 조달 및 내륙 유통망 확보를 위한 자산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농업분야의 트렌드 변화에 대응해 장기적 관점에서 국내 유망 어그테크(Ag-Tech) 기업과의 협업도 모색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농식품은 가장 많은 물량이 거래되는 교역품 중 하나로, 지난 2018년 기준 시장 규모는 6조3,000억달러(약 7,000조원)에 달한다. 이는 전 세계 철강시장의 6.3배, 자동차 시장의 3.7배에 이르는 규모다. 더더군다나 전 세계 인구는 오는 2050년 97억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돼 장기적 수요 상승도 예상된다.

이에 따라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식량 사업을 핵심사업으로 집중 육성키로 했다. 영농, 저장, 가공, 물류 등 유통 단계별 연계 강화를 바탕으로 수익성을 확보하고 국제 곡물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겠단 구상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곡물 취급량은 지난해 기준 800만톤으로 2015년 84만톤 대비 9.5배 가량 급성장 했다. 이와 함께 지속적 성장을 위해 트레이딩을 넘어 농장·가공·물류 인프라에 이르는 식량 밸류체인을 구축해 왔다. 현재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터미널, 미얀마 쌀 도정공장, 인도네시아 팜오일 농장 등 식량 생산국 현지사업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식량 사업 강화가 국내 식량안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한국의 연평균 곡물 생산량은 450만톤으로, 매해 1,600만톤의 곡물을 수입하고 있다. 이에 따른 곡물 자급률은 21%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쌀을 제외하면 밀(0.7%), 옥수수(3.5%), 콩(26.7%) 등 주요 곡물의 자급률은 현저히 낮은 편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식량사업은 사양시장이 아닌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전후방 산업으로 확장이 가능한 성장 시장”이라며 “식량 사업 확대로 메이저 곡물기업에 버금가는 국제경쟁력을 갖춤으로써 수익창출과 식량안보에 기여하며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