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최진홍 기자] 차량공유에 적합한 경차가 자율주행 기술을 바탕으로 실제 도로를 달릴 전망이다.
SK텔레콤은 4일 연세대 글로벌융합공학부 김시호 교수 연구팀과 손잡고 국내에서 처음으로 경차에 딥러닝 기반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해 임시운행 허가를 취득했다고 발표했다.
경차라는 키워드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경차는 차량 내 공간이 좁아 자율주행차용 장비 탑재에 어려움이 있어 그동안 중·대형차 중심으로 국내 자율주행차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경차는 높은 연비와 관리 편의성은 물론, 차량공유로 활용하기에 용이하다. 이번 연구 성과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다.

SK텔레콤과 연세대 연구팀이 이번에 자율주행 허가를 취득한 차량 모델은 기아차 ‘레이’다. 경차는 저렴한 유지비와 관리 편의성 때문에 차량공유 서비스에 많이 활용된다. SK텔레콤과 연세대는 ▲차량공유 서비스 이용 고객이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로 차량을 호출하면, 자율주행차가 해당 장소로 이동하는 차량 호출 기술 ▲자율주차 기술 등을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자율주행 배송 기술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연내 5G 통신 모듈을 레이에 탑재해 5G V2X 및 커넥티드카 기술도 고도화할 계획이다.
SK텔레콤과 연세대 연구팀은 레이에 엔비디아의 컴퓨팅 플랫폼 ‘드라이브 PX-2’와 자체 개발한 딥러닝 조향 제어 장치를 접목해 자율주행 시스템을 구현했다. 영상 정보 자체를 이해하고 조향장치를 조정한다. 또, 주행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해 조향장치 제어 능력을 고도화하기 때문에 데이터가 쌓일수록 운전 능력이 진화할 수 있다.
SK텔레콤 박진효 ICT기술원장은 “스스로 학습해 운전 능력을 고도화하는 자율주행차 개발에 성공한 것은 SK텔레콤과 연세대의 산학 협력이 시너지를 발휘했기 때문”이라며, “자율 주행 기술을 차량 공유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와 접목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세대 김시호 교수는 “5G 통신과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한 자율주행차가 초연결, 초지능 융합기술 시대에 공유 경제를 대표할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