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지역. 출처=국토부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지 68곳이 확정됐다.

정부는 14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어 ▲우리동네살리기 17곳 ▲주거지지원형 16곳 ▲일반근린형 15곳 ▲중심시가지형 19곳 ▲경제기반형 1곳을 시범사업지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도시재생 뉴딜은 현 정부 임기 5년간 노후주거지 500곳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으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도 주요과제로 포함됐다.

첫해 시범사업지 68곳 가운데 정부가 선정한 곳은 ▲경기 수원시 ▲인천 부평구 ▲부산 북구 ▲대전 대덕구 ▲세종 조치원읍 ▲강원 강릉시 ▲충북 청주시 ▲전북 군산·익산·정읍시 ▲전남 목포·순천시 ▲경북 영천시 ▲경남 사천·김해시 등 15곳이다.

공공기관 제안 방식으로 선정된 곳은 ▲경기 시흥·남양주·광명·얀앙시 ▲인천 동구 ▲충남 천안시 ▲경북 포항시·영양군 ▲경남 통영시 등 9곳이다.

나머지 44곳은 광역지방자치단체들이 자체 선정한 지역이다.

시도별로는 사업 신청 수요가 많은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8곳이 선정됐다. 이어 전북과 경북, 경남에서 각각 6곳씩이 선정됐다.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은 제주도와 세종시는 각각 2곳과 1곳이 선정됐다.

기존 도시재생 사업에 포함되지 않은 농어촌 지역도 ▲세종 조치원읍 ▲전북 완주군 ▲경북 영양군 ▲경남 하동군 등 4곳이 명단에 올랐다. 국토부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사업지원계획을 구체화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번에 선정된 68곳은 내년 2월 선도지역으로 지정되고, 사업별 특성에 맞는 컨설팅이 제공된다. 선정되지 않은 사업도 내년 이후 추진할 수 있도록 계획 수립 단계부터 컨설팅, 교육과 사업화 지원이 이뤄진다. 사업 추진이 부실할 경우 2018년도 선정 과정에서 불이익을 받게 된다.

이번 도시재생 뉴딜사업엔 연평균 재정 2조원과 기금 4조9000억원이 투입되고, 연간 최대 3조원 수준의 공기업 투자도 더해진다.

당국은 재정 가운데 8000억원을 국비로 지원하되, 지역 여건에 따라 국비 지원율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내년의 경우 재정 4638억원, 기금 6801억원 등 1조1439억원이 투입된다. 이들 68곳에 3~6년간 투입될 전체 사업비는 6조7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아울러 사업 비전과 중장기계획 등을 담은 ‘도시재생뉴딜 로드맵’을 내년 초 마련, 의견 수렴을 거쳐 ‘국가 도시재생 기본방침’에 반영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