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2분기 제조업 평균 가동률이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30일 통계청에 따르면 2분기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1.6%로 전분기(72.8%) 대비 1.2%포인트(p) 하락했다.

분기 기준으로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분기(66.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분기 기준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가 한창 진행 중이던 1998년(66.4%) 이후 최저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제조업의 생산능력 대비 실제 생산실적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제조업 가동률 하락은 다시 투자 위축과 실업 등으로 이어진다.

2000년대 들어서는 꾸준히 70%대 중후반을 유지하고 80%를 넘을 때도 많았으나 2011년 3분기 80.9%를 끝으로 단한번도 80%대를 회복하지 못했다. 2012년부터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2011년(80.5%) 이후 2012년 78.5%, 2013년 76.5%, 2014년 76.1%, 2015년 74.5%, 2016년 72.6%까지 떨어졌다.

최근 반도체 산업이 슈퍼사이클에 진입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사상 최대 이익을 기록했지만 제조업 등의 불균형은 심화되고 있다.

실제 제조업 전체 생산능력지수(2000년=100)는 올해 2분기 112.8이었다. 반도체 제조업은 256.5로 2배가 넘게 올랐지만,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105.1에 그쳤고,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은 99.6, 섬유제품 제조업은 92.8로 물러났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이 하락하면 설비투자 확대가 제약된다. 2분기 설비투자는 전분기 대비 4.4% 증가했다. 설비투자 증가율은 지난해 3분기 -1.9%에서 4분기 8%로 확대됐다가 올해 1분기 5.6%에 이어 2분기에도 증가폭이 축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