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관련 법안이 국회를 빠져나오지 못해 관망세가 지속되면서 매매시장이 다소 주춤한 모습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 변동률은 -0.01%로  3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전세가 변동률은 0.03% 상승했다.

지역별 매매율을 살펴보면 △은평구(-0.04%) △강남구(-0.02%) △강동구(-0.02%) △송파구(-0.01%) △종로구(-0.01%) 순으로 하락했으며 마포구(0.02%)만 소폭 오름세를 나타냈다.

부동산써브가 조사한 결과, 은평구 경우 저가 매물이 소진된 뒤 다소 잠잠한 모습이다.  갈현동 한솔 111㎡는 1000만원 내린 2억5000만~2억7000만원, 녹번동 대림 107㎡는 1000만원 내린 3억~3억2000만원대 거래되고 있다.

강남구 역시 전반적으로 문의와 거래가 거의 없다. 개포동 주공1단지 42㎡는 500만원 내린 6억6250만~6억8500만원, 도곡동 개포우성4차 183㎡는 1500만원 내린 14억5000만~15억9000만원이다.

반면 마포구는 소형 아파트 중심의 문의가 이어지면서 매매가가 다소 올랐다. 공덕래미안2차 80㎡가 1000만원 오른 4억~4억4000만원대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0.03%  올랐다.

지역별로는 마포·성동·관악구가 0.08%씩 오른데 이어 △은평구(0.06%) △영등포구(0.05%) △서대문구(0.05%) △강남구(0.05%) △성북구(0.05%) △송파구(0.04%) △종로구(0.04%) 순으로 상승했다.

마포구는 전세 물건이 부족 현상을 보이면서 도화동 우성 114㎡는 500만원 오른 2억3500만~2억7000만원, 마포동 쌍용 85㎡는 1000만원 오른 2억5000만~2억9000만원대 거래되고 있다.

성동구는 역시 오름세를 나타내면서 금호동4가 롯데 116㎡는 750만원 오른 3억1000만~3억4000만원, 서울숲푸르지오 76㎡는 1000만원 오른 3억1500만~3억4500만원대를 형성하고 있다.

영등포구 경우 수요는 많지만 물건이 없어 가끔 비싸게 매물이 나와도 거래가 이뤄진다. 당산동4가 금호어울림 106㎡는 500만원 오른 2억9000만~3억2500만원이고 영등포동 순영웰라이빌 105㎡는 1000만원 오른 2억2500만~2억4500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