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전세버스생존권사수연합회
사진=전세버스생존권사수연합회

민주노총 택배노조를 중심으로 초심야시간(0시~5시) 배송 금지가 추진되는 가운데, 전세버스 업계가 심야배송 금지를 반대하는 주장을 내놨다. 

안성관 전국전세버스생존권사수연합회(전생연) 위원장은 지난 4일 성명을 내고 “새벽배송 중단 논의는 서민의 삶을 무너뜨리는 현실 외면”이라며 새벽·심야배송 중단 논의를 멈춰달라고 밝혔다.

이어 “야간 물류 현장에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수많은 근로자의 일터를 무너뜨리고, 그들을 안전하게 출퇴근시키는 전세버스 업계의 생존 기반까지 붕괴시키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우리 업계는 새벽시간대 근로자들의 안전한 출퇴근을 책임지며 야간운행을 통해 정직하게 일하는 사업자들이 삶을 이어갈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왔다”며 “전세버스 종사자의 생계터전을 치워버리는 발상은 중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생연은 전세버스 운영사 100여 개가 속해있는 단체다. 쿠팡 야간 물류에 전세버스 1000여 대가 운영되고 있으며 컬리, CJ대한통운 등 4개 업체 물류 통근버스 800여 대가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지난달 22일 전국택배노조가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0시부터 5시까지 새벽 배송 금지를 요청한 가운데, 노동계에서는 이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쿠팡 위탁 택배기사 1만여 명이 소속된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는 지난 3일 성명을 내고 “새벽배송 금지는 야간 기사 생계 박탈 선언이자 택배산업 자해행위”라고 비판했다.

또 CPA가 새벽배송 기사 2405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3%는 ‘심야시간 새벽배송 제한’을 반대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일각에서 제기되는 ‘주·야간배송 교대제’에도 84%가 반대했다.

이 밖에도 사단법인 한국온라인쇼핑협회,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도 심야배송 금지 추진에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