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쿠팡의 직고용 배송 기사 노조인 쿠팡친구 노동조합(쿠팡노조)이 민주노총의 새벽 배송 금지 추진과 관련해 “민주노총 탈퇴에 대한 보복”이라는 입장문을 냈다. 

쿠팡노조는 7일 입장문을 내고 “(민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쿠팡 노조가 민주노총을 탈퇴했기에 가능한 일이며, 이는 쿠팡 노조 탈퇴에 대한 민주노총의 보복”이라고 밝혔다.

앞서 쿠팡노조는 지난 2023년 11월 조합원 93%의 찬성을 얻어 민주노총을 탈퇴했다. 당시 쿠팡노조는 “정치적 활동에 대한 강요를 못 참겠다”며 “조합원 권익보다 산별노조의 여러 활동 참여 요구가 잦았고 조합비 납부를 요구해 이익이 침해당했다”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날 쿠팡 노조는 성명서를 통해 “민주노총은 노동자를 위해 새벽 배송 금지가 꼭 필요한 것처럼 말하지만, 쿠팡노조가 민주노총 소속일 때는 단 한 번도 이런 주장을 한 적이 없다”라며 “조합원의 일자리를 빼앗는 주장을 노동조합이 한다는 자체가 말이 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쿠팡노조는 지난 5일 민주노총과 택배사 등이 참석한 사회적대화기구 회의 당시 6000여명의 택배기사가 가입한 ‘비노조 택배연합’의 김슬기 대표가 회의장에서 ‘퇴장 조치’를 당했다는 보도 내용을 언급했다.

쿠팡노조는 “택배기사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인데도 당사자인 쿠팡노조와 전국비노조택배연합이 배제된 채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며 “을을 지키기 위해 시작된 논의가 을을 배제한 채 을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했다.

이어 쿠팡노동조합의 야간 배송 조합원 비율은 40% 이상에 달하는데, 이 40%의 고용 안정을 위협하는 시도는 결코 납득할 수 없다고 밝히며 “민주노총만 고수하는 이유는 조합 내 야간 배송기사 비율이 극히 낮기 때문에 나머지는 어떻게 돼도 상관없다는 의미로 보일 정도”라고 주장했다.

끝으로 쿠팡노조는 “야간 노동자 일자리, 임금 보전 없는 새벽배송 금지 추진은 탁상공론이자 정치적 의도가 섞인 행보일 뿐”이라며 “정부는 쿠팡노조의 사회적 대화기구 참여를 즉시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지난달 22일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열린 ‘심야·휴일 배송 택배기사 과로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대화기구’ 회의에서 민주노총은 심야시간대(0시~5시) 배송을 전면 금지하고, 오전 5시와 오후 3시를 기준으로 2교대 주간근무제로 전환하자는 방안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