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글로벌 선박 발주 감소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기존 중국으로 가던 선박의 물량이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여전히 고선가 랠리가 지속되는 만큼 한국이 상대적 우위에 섰다는 평가다.
7일 영국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10월 세계 선박 수주 물량은 291만CGT(118척)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8% 감소했다.
이중 한국은 52만CGT(9척)를 수주해 점유율 18%를 기록했다. 중국은 213만CGT(98척)를 수주해 점유율 73%를 차지했다.
올해 10월까지 세계 누적 수주 물량은 3789만CGT(1392척)로 지난해 6649만CGT(2768척) 대비 43% 감소했다.
한국은 806만CGT(182척)로 21% 점유율을 기록했고, 중국율은 2239만CGT(895척)를 수주하며 59%를 차지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15%, 52% 감소한 수치다. 미중 관세전쟁 이후 주요 선사들이 중국 발주 물량을 줄이는 기조가 지속되고 있다.
10월 말 기준 세계 수주 잔량은 1억6779만CGT다. 한국은 전월 대비 50만CGT 증가한 3428만CGT(20%), 중국은 63만CGT 감소한 1억196만CGT(61%)를 차지했다.
선가는 여전히 고가에 유지되고 있다. 10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84.87포인트로 5년 만에 47% 상승했다.
선종별 선가는 LNG운반선 2억4800만 달러, 초대형원유운반선(VLCC) 1억2600만 달러, 초대형 컨테이너선(2만2000~2만4000TEU) 2억6650만 달러다.
박상준 기자
pjoonyq@econovil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