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23일 네이버지도에 ‘실내 AR 내비게이션’과 ‘플라잉뷰 3D’ 서비스를 정식 오픈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거리뷰 3D’를 선보인 데 이어 네이버랩스의 공간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서비스 경험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실내 AR 내비게이션은 GPS 신호가 닿지 않는 곳에서도 스마트폰 카메라만으로 이용자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히 인식해 길을 안내하는 서비스다.
카메라로 주변을 스캔하면 목적지까지 이동 방향이 현실 공간 위에 직관적으로 표시된다. 대형 복합시설처럼 복잡한 실내에서 길을 헤매지 않도록 돕는 것이 특징이다. 우선 코엑스에서 서비스를 시작하며 향후 유동 인구가 많은 복합 공간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플라잉뷰 3D’는 경주 첨성대 부산 벡스코 등 국내 주요 랜드마크 10곳을 3차원으로 생생하게 탐색할 수 있는 서비스다.
네이버의 이번 업데이트는 지도 플랫폼 경쟁의 축이 단순 길찾기에서 ‘공간지능 기술’로 넘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카카오맵 등 경쟁사가 실내 지도를 제공하는 상황에서 네이버는 한발 더 나아가 AR을 전면에 내세워 기술 차별화를 꾀했다.

특히 플라잉뷰 3D는 구글맵의 ‘이머시브 뷰’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며 방한 외국인 관광객 시장까지 겨냥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이번 서비스들은 네이버랩스의 공간지능 기술력이 뒷받침됐다. 3차원 공간 정보를 구축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과 카메라로 현재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는 AI 비전 측위(Visual Localization) 기술이 AR 내비게이션에 적용됐다.
플라잉뷰 3D 역시 네이버랩스의 3D 비전 기술(Novel View Synthesis)로 구현됐다. 드론 촬영 이미지와 거리뷰 3D 이미지를 결합해 다양한 각도에서 랜드마크를 현실감 있게 둘러볼 수 있다.
최승락 네이버지도 서비스 총괄 부문장은 “네이버지도는 장소 탐색부터 이동까지 전반적인 여정을 완결성 있게 지원하는 올인원 플랫폼에서 나아가 오프라인의 현장감도 생생하게 구현하는 ‘현실과 가장 가까운 지도’로 거듭나고 있다”며 “지도와 공간지능 기술의 시너지가 무궁무진한 만큼 이용자에게 더 혁신적인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지속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