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사진 = 연합뉴스.
건설현장. 사진 = 연합뉴스.

건설 현장 근로자가 4년 새 약 19만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건설근로자 수는 2021년 111만4천840명에서 올 6월 기준 92만5천253명으로 18만9천587명 줄었다.

2022년에 전년 대비 11만3천629명이 줄어 이 기간 가장 감소폭이 컸다. 2025년 6월에는 전년 대비 7만2천411명, 2024년에는 4만5천74명 각각 감소했다. 2023년에만 전년 대비 증가(4만1천527명)를 기록했다.

기능등급 순으로는 중급이 10만3천25명 줄었고 초급은 7만5천301명, 고급은 4만2천898명 각각 감소해 신규 진입이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특급은 전 등급 중 유일하게 증가(3만1천637명)했다.

직종별로는 형틀목공(7만4천502명)이 5만4천692명 감소했고 강구조(7만3천556명)는 4만51명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내선전기(10만7천111명)는 6만5천645명, 안전관리(3만8천791명)는 3만233명 각각 증가하는 등 직종별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문진석 의원은 "윤석열 정부 3년간 건설시장이 급격히 위축되면서 건설사는 물론 근로자들도 현장을 떠나며 건설산업에 위기가 닥쳤다"며 "차후 건설경기가 되살아나는 사이클이 도래하더라도 근로자 만성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