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생명 사옥 전경. 출처=교보생명
교보생명 사옥 전경. 출처=교보생명

교보생명이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심화되는 '치매머니' 문제 해결을 위해 선보인 '평생안심신탁'이 고령층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교보생명은 2일, '평생안심신탁'이 출시 한 달 만에 100호 계약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교보생명은 지난달 3일, 치매나 중증질환으로 인지 능력이 저하된 65세 이상 고령자의 금융계좌가 동결돼 자금을 활용하지 못하는 이른바 '치매머니'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평생안심신탁을 출시했다. 국내 치매머니 규모는 약 172조 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6.9%에 달하는 수준이다.

치매머니는 병원비∙간병비 등 예기치 못한 지출이 필요한 시점에 자금이 묶여 가족이 활용할 수 없고, 결국 상속세 부담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국가경제 차원에서도 현금 유동성 감소로 내수 위축, 사회적 손실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일본의 경우, 치매머니 규모가 240조 엔(한화로 약 2300조 원)으로 GDP의 40%에 달해 심각한 사회 문제로 꼽히고 있다.

교보생명 평생안심신탁은 가입자가 평상시에 일반 계좌처럼 자유롭게 이용하다가 중증치매나 중증질환으 진단 시, 사전에 지정된 후견인이 대신 신탁 계좌를 관리하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자금이 동결되는 문제를 예방하고 치료비와 생활비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평생안심신탁 100호 계약자인 60대 후반 남성은 "친구가 뇌경색으로 쓰러진 후 계좌에서 현금 인출이 막혀 가족이 큰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보고, 평생 모은 재산을 잃지 않기 위해 현금을 모두 안심신탁 계좌에 맡기기로 결심했다"고 계약 동기를 밝혔다.

계약 현황을 살펴보면 여성 가입자가 76%로 남성(24%)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70대가 51%로 가장 높았고, 60대(23%), 80대(18%), 50대(8%)가 뒤를 이었다.

계약 금액은 '1억 원 이하'가 79%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1억~5억 원 미만'(17%), '5억~10억 원 미만'(3%), '10억 원 이상'(1%)이 뒤를 이었다. 계약 잔고는 수시 입출금이 가능해 유동적으로 변동된다.

교보생명은 지난해 7월 종합재산신탁 사업에 진출한 이후 보험금청구권신탁∙유언대용신탁 등 맞춤형 신탁 서비스를 업계에서 선제적으로 제공하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김계완 교보생명 종합자산관리팀장은 "지난해부터 초고령사회가 이미 시작된 만큼, 금융기관도 서둘러 다양한 서비스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며 "교보생명은 앞으로도 맞춤형 종합재산신탁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고령층이 직면한 재산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