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제공 = 부킹닷컴.
이미지 제공 = 부킹닷컴.

한국인 여행객은 ‘현지 요리’를 ‘맛집’보다 더 중요하게 여겼다.

부킹닷컴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여행객 8천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아·태 홀리데이 홈 미식 트렌드 리서치’ 결과를 공개했다.

홀리데이 홈이란 주방과 생활공간이 갖춰진 단기 임대 숙소로, 현지처럼 생활하며 머물 수 있는 형태다. 조사에 따르면 음식이 이 같은 숙소 이용 경험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떠올랐다.

한국인 여행객의 97%(아·태 평균 97%)는 여행 중 평소와는 다른 방식으로 요리와 식사를 즐긴다고 답했다. 현지 시장을 방문한다는 응답도 89%(아·태 평균 85%)에 달했다. 현지 음식을 직접 요리하거나 새로운 조리도구·레시피를 시도하는 등 다양한 미식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여행지 선택에서도 음식의 영향력이 두드러졌다. 한국인 응답자의 97%(아·태 평균 79%)는 음식이 여행지 결정에 영향을 준다고 밝혀 조사 대상 8개국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맛집을 방문하기 위해 여행지를 선택한 경험은 69%(아·태 평균 82%)로 평균보다 낮았다. 음식이 한국인에게 강력한 동기임에도 실제 행동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홀리데이 홈을 선호하는 이유에서도 차이가 드러났다. 한국 여행객은 유연성(35%)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원하는 시간에 자유로운 식사(33%), 주방 이용 가능(30%), 프라이버시(28%) 순으로 나타났다. 아·태 평균은 유연성(46%), 프라이버시(44%), 주방 이용 가능(41%),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식사(40%) 순으로 전반적으로 한국보다 높았다.

외식 또한 중요한 요소였다. 한국 미식 여행객의 57%(아·태 평균 62%)는 해외여행 시 현지 레스토랑을 즐겨 찾았고, 21%(아·태 평균 36%)는 현지 음식점 접근성을 이유로 홀리데이 홈을 예약한다고 답했다. 또 69%(아·태 평균 82%)는 특정 레스토랑이나 음식점을 방문하기 위해 여행지를 선택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즉, 한국 여행객은 음식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접근성 측면에서는 아·태 평균보다 다소 보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는 네 가지 주요 트렌드도 확인됐다. △Z세대를 중심으로 한 젊은 층의 주방 참여 확대 △전통주의자·실험가·미니멀리스트·사교형 등 다양한 요리 성향 △현지 시장·마트 방문으로 대표되는 ‘트롤리 투어리즘’ 확산 △식재료나 조리도구를 직접 챙기는 ‘포터블 팬트리’ 현상이 그것이다.

부킹닷컴은 현재 전 세계 8백40만 개 이상의 홀리데이 홈을 포함한 숙소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