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가 완전 자율주행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기술 개발을 넘어, 운행과 안전을 총괄하는 새로운 사업자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미래 모빌리티 시장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구상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25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93회 대한교통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무인 자율주행 서비스 완성을 위한 원격 운영 및 안전관리’를 주제로 세션을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자율주행 시대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핵심 주체로 ‘안전관리자’와 ‘주행 사업자(DSP Driving Service Provider)’ 도입이 처음으로 공론화됐다.
자율주행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운전자 없는 차’가 도로 위 돌발상황에 어떻게 대처하고 누가 책임을 질 것인가에 대한 물음은 상용화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다. 이번 제안은 바로 그 마지막 퍼즐을 맞추기 위한 해법으로 풀이된다.
박일석 카카오모빌리티 자율주행사업팀 이사는 “자율주행 무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차량이 마주할 수 있는 다양한 예외 상황을 포함해 운영과 관제 기술이 필수적”이라며 “안전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안전관리자’의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안전관리자는 관제 상황실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비상상황 대응, 데이터 관리 등을 수행한다.
김영기 한국공학한림원 자율주행위원회 위원장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주행 사업자(DSP)’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했다.
DSP는 마치 이동통신사가 통신망을 관리하듯 무인 자율주행차의 운행 전반을 책임지는 사업자다. 개별 차량을 실시간으로 관제하고 위험 상황에 사전 조치하며 차량의 요청 시 주행 안내나 제어 서비스까지 제공한다. 이는 자율주행차 제조사와 서비스 플랫폼 사이에서 ‘안전과 운행’을 전담하는 새로운 산업 생태계의 등장을 의미한다.

김 위원장은 “주행 사업자는 소비자 서비스 중심의 오픈된 공정한 자율주행 생태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주행에 대한 데이터 관리 역할도 맡아 글로벌 자율주행 시장에서 리더십을 확보하고 국내 자율주행 데이터 주권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이번 제안은 현대차그룹이나 네이버 등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뛰어든 경쟁사들과의 경쟁에서 ‘플랫폼’과 ‘운영 노하우’를 무기로 시장을 선점하려는 전략적 포석이다. 단순히 차량과 승객을 연결하는 중개자를 넘어, 미래 자율주행 시대의 ‘관제탑’ 역할을 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한 것이다.
이날 세션에서는 기술적 문제 외에 사회적 수용성의 중요성도 강조됐다. 구영욱 카카오모빌리티 책임연구원은 “자율주행이라는 신기술에 대한 신뢰가 구축되면서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다”며 “사회 정치적 지역사회 소비자 수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경표 한국교통연구원 팀장은 “안전관리자 주행 사업자 최초 대응자 등이 안전하고 안정적인 자율주행 여객운송 사업화를 위한 마지막 퍼즐”이라며 운송사업자 기술업체 서비스 면허기관 간의 지속 가능한 협업모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