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소방대원이 불에 탄 배터리를 옮기고 있다. 전날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됐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소방대원이 불에 탄 배터리를 옮기고 있다. 전날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됐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중단된 전산시스템을 28일부터 순차적으로 재가동하기로 했다. 직접적인 피해가 없는 시스템 551개를 정상 작동 여부 점검 차원에서 우선 가동에 나선다.

행정안전부는 28일 국정자원 대전 분원 내 네트워크 장비 재가동을 진행한 결과 이날 오전 7시 기준 50% 이상 복구를 마쳤다고 밝혔다.

핵심 보안장비는 전체 767대 중 763대(99%)가 정상화됐고, 전날 전소된 배터리 384개도 모두 반출을 완료했다. 안정적인 전산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항온·항습기도 이날 새벽 5시 30분 복구돼 정상 가동 중이다.

국정자원 대전 분원에는 총 647개의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으며 이 중 96개는 화재로 직접 피해를 입었다. 나머지 551개는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했던 만큼 이번 재가동 대상에 포함됐다.

김광용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정부는 책임 있는 태도로 최대한 신속하게 행정서비스를 복구 중이며, 복구 상황과 원인 규명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행정서비스 장애는 계속되고 있다. 경기도에서는 국민신문고, 정부24, 문서24, 정보공개포털, 나라장터 등 22개 서비스가 정상 작동되지 않고 있다.

대전 소재 조달청과 특허청은 직격탄을 맞았다. 나라장터 접속 차단이 장기화되고 있으며, 특허 전자출원(특허로)도 원활하지 않아 법령에 따라 기한이 연장 조치됐다.

충북과 세종에서는 무인민원발급기와 여권 발급이 중단됐다. 세종시는 124개 연계시스템 중 52개가 접속 불능 상태다.

부산 수영구와 동구는 주민등록, 전입신고, 납세증명, 여권 발급 등 서비스 일부가 멈췄고, 전북도는 문자 발송서버 중단으로 공무원들이 전자팩스를 이용하고 있다.

광주·전남도 역시 정부24 장애 여파로 민원 서비스가 마비된 상태다. 제주도는 도청 홈페이지 온라인 민원상담이 불통돼 전체 273개 시스템의 영향 범위를 전수조사 중이다.

전국적으로 정부24, 행안부 홈페이지 등 600여 개 주요 시스템이 멈춰 각종 민원 발급과 온라인 신청 업무에 차질이 이어지고 있다.

119 시스템의 위치추적 서비스가 중단돼 경찰 112 시스템을 통해 임시 대응 중이고, 해양경찰청도 행정전자서명 인증시스템 장애로 내부 포털이 마비됐다.

다만 재난 대응과 수사 등 핵심 기능은 별도 통신망으로 운영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은 취약계층 인증 만료 기한을 30일 연장하는 등 긴급 대책을 시행했다.

정부는 긴급 복구 작업과 함께 화재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소방은 전산실 내 배터리 교체 과정에서 불꽃이 발생해 화재로 확산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피해 규모와 원인을 조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