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바라면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면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6·27 대책 이후 주춤했던 서울 아파트값이 3주 연속 오름폭이 커졌다. 정부가 9·7 공급대책을 발표했지만 성동구와 마포구 등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추가 규제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똘똘한 한 채’를 확보하려는 매수세가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동향에 따르면, 9월 넷째 주(22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9% 상승해 직전주(0.12%)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6·27 대책 이후 0.08%까지 둔화했던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최근 3주째(0.08%→0.09%→0.12%→0.19%) 확대 흐름이 이어졌다.

서울 25곳 자치구 중 22곳에서 가격 오름폭이 커졌다. 강남구는 0.12%로 전주와 동일했고 전주 대비 상승폭이 줄어든 곳은 도봉구와 구로구뿐이다.

특히 한강벨트 지역의 오름폭이 확대되며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를 주도하는 모습이다. 성동구(0.59%), 마포구(0.43%), 광진구(0.35%), 송파구(0.35%), 강동구(0.31%)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강동구(0.14→0.31%), 용산구(0.12→0.28%), 동작구(0.10→0.20%), 은평구(0.00→0.09%), 강북구(0.01→0.03%), 금천구(0.01→0.02%)는 전주 대비 상승 폭이 두 배 이상으로 커졌다.

한국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와 대단지, 역세권 등 선호단지 위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 거래가 포착되는 등 서울 전체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에서는 과천과 분당 등 선호도 높은 지역에서 상승세를 보였다. 경기도 성남 분당구는 전주 대비 0.64% 상승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과천시와 광명시는 각각 0.23%, 0.24% 상승했다.

지난 7일 2030년까지 총 135만 가구의 신규 주택을 공급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9·7 주택공급 대책이 발표됐지만 상승폭은 오히려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이번 공급 대책이 실수요자의 공급 부족 불안을 해소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처럼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한 선호 지역의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이나 부동산 수요 억제 대책이 나올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부동산 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끊임없이 반복해서 대책을 내놓을 수밖에 없다”고 언급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9·7 대책의 체감효과가 크지 않은 데다 정부가 국토교통부 장관까지 토허구역 지정 권한을 확대하기로 한 점이 매수심리를 자극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정부는 9·7 공급 대책을 통해 국토부 장관의 토허구역 지정 권한을 확대하기 위해 관련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정부가 직권으로 토허구역 등 규제지역을 추가 지정할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규제 전에 ‘똘똘한 한 채’를 사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사실상 6·27 대출규제의 심리적 효과는 소멸했다고 봐야 한다"며 "공공택지가 턱없이 부족한 서울은 공급물량을 제대로 채울 수 없다는 시장의 불안에 정부가 제대로 답을 주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출 규제 같은 수요 억제만으로 똘똘한 한 채 양극화를 막지 못한다”라며 “공급은 꾸준히 하되 다주택자 규제 폐지, 양도세 한시적 감면 등을 통해 시장에 매물이 나올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