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력이 중국 풍력사업에서 발생한 900억원 규모의 배당금 미수 문제를 정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사실상 해결하게 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합의로 10월 중 미수 배당금 전액이 지급될 예정이며, 그동안 제기됐던 미수금 장기화 우려가 해소될 전망이다.
한전은 2005년부터 중국 국영기업인 대당집단과 합작해 내몽고, 요녕, 감숙 등 3개 지역에서 1024MW(메가와트) 규모의 풍력발전 사업을 운영해 왔다. 한중 경제협력의 상징적인 사례로, 한전은 약 2300억원을 투자해 4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신재생 발전 보조금을 받는 사업으로 추진됐다.
그러나 2016년 이후 중국 내 신재생발전 설비가 급증하면서 중국 정부재원 부족으로 보조금 지급이 지연됐다.
합작법인 현금흐름이 악화되면서 한전은 배당금을 정상적으로 회수하지 못했다. 지난해 말 기준 미수 배당금은 약 900억원에 달하며 사업 안정성에 부담으로 작용해 왔다.
한전은 현지 파트너뿐 아니라 산업통상자원부 및 주중 한국대사관과의 긴밀한 협력 체계를 주도하며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지난 8월 부산 APEC 한·중 에너지 장관회의에서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중국 능원국장(중국 에너지부장관)측에 조속한 해결을 공식 요청했고, 해당 현안은 양국 고위급 회의에서 직접 논의되는 진전을 보였다.
이후 외교적 노력이 결실을 맺어 9월 초 한전은 올해 첫 배당금 145억원을 수령했다.
추가로 김동철 한전 사장의 중국 출장을 계기로 23일 중국 파트너사인 대당 신능원 고위 관계자와는 주주간 회의를 진행했다. 여기선 잔여 배당금 753억원 전액의 10월 중 지급을 확약받았다.
이에 따라 올해 안에 총 898억원의 미수 배당금이 전부 회수될 전망이다.
이번 성과는 ‘산업부-한전-주중 한국대사관’의 삼각 협력 체계가 실질적인 성과를 거둔 사례로 거론된다. 해외사업 환경에서 기업 단독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규제와 제도적 장벽을 국가 차원의 외교적 지원을 통해 극복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한전은 앞으로도 중국을 포함한 해외 주요 시장에서 친환경 에너지 투자를 더욱 확대하며, 글로벌 에너지 전환에 적극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