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협회. 사진=김호성 기자.
금융투자협회. 사진=김호성 기자.

금융투자협회 차기 회장을 뽑는 선거가 11월로 다가오면서 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현재 출마를 공식화한 후보는 황성엽 신영증권 사장과 이현승 전 KB자산운용 대표다.

황 사장은 1987년 신영증권에 입사해 38년째 근무한 정통 '증권맨'으로 자산운용, 법인사업, 투자은행(IB), 경영총괄 등 주요 분야를 거쳐 각자 대표로 올랐다. 그는 한국 금융시장이 은행 중심에서 IB 중심 구조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금투협이 중추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포부를 내세우고 있다.

이 전 대표는 재정경제부 출신으로 메릴린치증권, SK증권, 코람코운용, 현대자산운용 등에서 경력을 쌓았다. 금융투자협회 비상근 부회장과 금융감독원 자문위원 등을 지낸 경험을 토대로 당국과 원활한 소통을 통해 자본시장 발전을 이끌겠다는 소신을 밝혔다.

아울러 서유석 현 회장의 연임 도전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서 회장은 2023년 1월 취임 이후 증시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활성화, 디딤펀드 출시, 상장 공모펀드 도입 등의 성과를 냈고, 회원사들 사이에서도 '화합형 리더'라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금투협 회장이 연임한 사례가 없다는 점은 부담 요인이다.

서 회장은 7월 기자간담회에서 연임 도전 여부를 묻는 질문에 "지금은 회장이나 협회가 정말 중요한 시기이기에 앞으로 있을 1개월, 2개월, 3개월간 올인을 해야 하고, 올해 9월이나 10월에 (출마를) 이야기해도 늦지 않다"고 말한 바 있다. 업계에 따르면 그는 이달 말 전후로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유력 후보로는 박정림 전 KB증권 사장(현 SK증권 사외이사)이 거론된다. 박 전 사장은 삼성화재, 국민연금, KB국민은행을 거쳐 2019년 증권업계 첫 여성 CEO로 KB증권 각자 대표에 올랐다. 국회의원 비서관 경력도 있어 정책과 대관 업무 경험을 함께 갖춘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왼쪽부터 사진설명 황성엽 신영증권 대표, 이현승 전 KB자산운용 대표, 박정림 전 KB증권 대표, 정영채 메리츠증권 고문,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 각사 제공.
왼쪽부터 사진설명 황성엽 신영증권 대표, 이현승 전 KB자산운용 대표, 박정림 전 KB증권 대표, 정영채 메리츠증권 고문,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 각사 제공.

한편 한국투자금융지주(한투) 측 인사가 출마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금투협 회장 선거는 협회 정회원인 400곳의 증권사·자산운용사·선물사·신탁사가 분담금 비율에 따라 배정받은 표결권으로 뽑기 때문에 미래에셋그룹과 한투그룹이 '빅2'로 꼽힌다.

서 회장이 미래에셋 출신인 만큼 이번에는 한투가 후보를 내세울 것이란 관측이다. 업계에서는 유상호·정일문 부회장이 잠재 후보로 거론된다.

한때 정영채 전 NH투자증권 대표의 출마설도 있었지만, 올해 2월 메리츠증권 상임고문으로 합류한 점을 고려할 때 현실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금투협은 11월 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선거 일정을 확정한다. 최종 후보가 확정되면 12월 중순 임시 총회에서 투표가 진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