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는 지난달 29일 경남 진주에서 농림축산식품부와 지자체 관계자, 지역 농업인이 참석한 가운데 '찾아가는 현장설명회'를 개최했다. 출처=농어촌공사
한국농어촌공사는 지난달 29일 경남 진주에서 농림축산식품부와 지자체 관계자, 지역 농업인이 참석한 가운데 '찾아가는 현장설명회'를 개최했다. 출처=농어촌공사

한국농어촌공사가 오는 2038년까지 전국 21개 시설농업 단지를 대상으로 '지하수 함양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지하수 함양'은 하천수나 재처리 수를 관정이나 자연 여과방식으로 지하 대수층에 주입해 지하수를 확보하는 기술이다.

사업 실효성도 입증됐다. 경남 진주시 단목지구는 총 2000여 동의 시설하우스가 밀집한 지역으로 매년 11월이면 지하수 고갈로 수막재배를 중단해야 하는 만성적 물 부족 지역이었다. 공사는 2016년 하루 8700톤 규모의 물을 지하로 주입·활용시설을 마련한 결과 농가들은 연중 농업용수를 확보하고 냉난방 비용도 줄일 수 있게 됐다.

오는 2038년까지 전국 21개 시설농업 단지에서 순차적으로 지하수 함양사업을 추진한다. 올해에는 경남 진주 대평지구, 경기 이천 호법주미지구 등 2개 지구를 선정해 기본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진주에서는 농업인이 자발적으로 공사 경남지역본부와 '대평지구 지하수 함양 협의위원회'를 구성하고 사업협의에 나섰다. 이에 공사도 내부 전문가 지원시스템인 '지오네비(GEONAVY)'를 가동했다.

공사는 최근 경남 진주에서 농림축산식품부와 지자체 관계자, 지역 농업인이 참석한 가운데 '찾아가는 현장 설명회'를 개최하고 GPS 측정, 물리탐사 등 기본조사 과정을 시연했다.

정연조 대평지구 지하수 함양 협의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지하수 부족으로 농업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물 걱정없이 농사짓게 된다는 기대가 크다"고 전했다.

심영건 농식품부 농업기반과 사무관은 "지하수 등 다양한 수자원을 확보해 기후위기 시대에 물 걱정없이 영농에 전념하도록 환경조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규상 한국농어촌공사 지하수지질처장도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기반 마련을 위해 사업전반을 꼼꼼하게 검토하고 지원하겠다"며 "앞으로 지하수 함양, 대용량 지하수댐 등을 통해 농어촌 물 복지의 새 지평을 열어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