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및 20개 국내은행 은행장이 참석한 '금융감독원장-은행장 간담회'에서 은행장들이 이찬진 금감원장의 모두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이 원장 취임 후 은행장들과의 첫 상견례 자리인 이날 간담회는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 등 금융소비자보호 문제를 비롯해 은행권의 민감한 이슈들이 거론됐다.
이 원장은 이달 14일 취임식 직후 자신에 대해 "의외로 과격한 사람 아니다"라고 소개하며 금융권 이슈에 대해 토론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했지만, 은행장들과의 첫 상견례에서부터 금융소비자 보호, 내부통제, 상생과 포용, 가계부채 등 은행권이 민감하고도 부담스럽게 여기는 대표적인 문제들을 쏟아냈다.
이 원장의 모두발언은 미리 인쇄돼 각 은행장들이 앉은 테이블 위에 놓여 있었지만, 그럼에도 일부 은행장들은 필기구를 꺼내 메모하기도 했다.
이날 이 원장은 ▲내부통제 강화 ▲생산적 금융 확대 ▲금융소비자 보호 ▲중기·소상공인 금융지원 활성화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 ▲은행권 혁신 노력 제고 등 6가지를 당부했다.
특히 이 원장은 은행권에 "금융감독·검사 전 과정에서 소비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밝혔다. 은행들의 이자 장사 위주의 영업 행태에 대해서도 정면 비판했다.
새 금감원장이 은행권과 첫 상견례 자리에서 압박성 메시지를 던지며 사실상 '군기 잡기'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원장은 "ELS 사태와 같은 대규모 소비자 피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사전예방적 소비자보호 체계를 확립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개인정보 유출, 직원 횡령 등 금융사고는 은행 신뢰를 근본적으로 훼손한다"며 "내부통제 체계를 신뢰 확보를 위한 핵심 투자로 인식해 달라"고 강조했다.
은행들의 '생산적 금융' 확대 필요성도 거듭 언급했다.
이 원장은 "은행은 리스크가 가장 낮은 담보와 보증상품 위주로 소위 손쉬운 이자장사에 치중하고 있다는 사회적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담보·보증 위주 영업에서 벗어나 인공지능(AI), 신산업 등 미래 성장 산업에 자금이 흘러갈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건전성 규제 개선 등 제도적 지원을 확대하겠다"라고도 했다.
간담회에서는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확대,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도 논의됐다. 이 원장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 금융시스템 안정을 위해 근본적으로 영업 방식을 개편해야 한다"며 "6·27 대책 관련 규제 우회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금감원은 원칙은 엄정하게 지키되 시장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은행권 혁신을 지원하는 동반자적 감독기관이 되겠다"고 말했다.
은행들은 자본 규제 완화, 정책자금 활성화 등 감독 지원을 요청했다. '상생금융 실천 우수 금융회사'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채무조정 절차 간소화, 금융소비자보호법 위반 시 과징금과 과태료 중복 부과 우려도 건의했다.
이 원장은 간담회 전후 행사장 앞에서 기다리던 취재진의 질문에는 일절 답하지 않았다. 이재명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인사라는 점에서 금융권에 과도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는 시선을 의식해 언론 노출을 최소화하는 모습이다.
한편 이 원장은 이날 은행장 간담회를 시작으로 다음 달 1일 보험업권, 4일 저축은행업권, 8일 금융투자업권 등과 잇달아 릴레이 간담회를 이어갈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