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월2일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국가별 관세 기준이 적힌 표를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월2일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국가별 관세 기준이 적힌 표를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미국이 철강산업에 대한 보호무역 정책을 강화하면서 국내 산업계에 파란이 예고된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미국은 이날 한국시간 오후 1시(현지시각 00시)부터 수입하는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50% 관세 대상 품목을 기존 253개에서 407개 파생상품으로 확대했다.

미국 상무부는 올 5~6월 관세를 부과할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에 대한 추가 신청을 받고, 지난 15일 관세 조치를 최종확정했다. 한국 정부·협회의 적극적인 의견 제출과 반박에도 미국 상무부는 다른 232조 조치나 조사 대상에 포함된 60개 품목을 뺀 대부분을 승인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조치로 당장 미국 내 수입 통관, 혹은 보세창고 반출 물량부터 관세를 적용받는다. 관세 대상이 확장되면서, 기계·자동차 부품·전자기기 등 수출 기업들까지 국가별 상호관세 15% 외에도 철강 알루미늄 함량분에 대한 50% 관세를 지불하게 됐다.

현재 정부는 미국 상무부가 파생상품 추가 지침에 의거해 올 9월에도 철강 알루미늄 파생상품을 지속 확대해 나갈 것으로 예상 중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현재 운영중인 중소·중견 기업 수입규제 대응 지원사업을 대폭 확대할 것”이라며 “철강 알루미늄 함량 확인이나 원산지 증명 등으로 컨설팅 대상을 대폭 확대하는 한편, 기업의 분담금도 획기적으로 낮출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