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당국 수장들이 잇따라 '생산적 금융'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고 있지만 2금융권의 중소기업 대출은 여전히 위축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대출 여파가 장기화하면서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기업대출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18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2022년 9월 68조원대에서 올해 1분기 45조원대로 줄어들었다. 2년 반 만에 3분의 2 수준으로 축소된 것이다.
상호금융권 등을 포함한 2금융권 전체 중소기업 대출 규모는 소폭 늘었지만 증가율은 2022년 3분기 30%를 웃돌던 데서 올해 1%대 안팎으로 급락했다. 같은 기간 시중은행은 중소기업 대출을 꾸준히 늘렸다.
저축은행의 기업대출 위축은 PF 부실 충격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저축은행 업권의 PF 대출 잔액은 최대 26조원대에서 최근 10조원대로 줄었다.
건전성 관리를 이유로 다른 기업대출 심사도 보수적으로 이뤄지면서 중소기업 대출은 2년 넘게 뒷걸음질을 쳤다.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은 이달 14일 취임식에서 "모험자본 공급펀드, 중소기업 상생지수 도입 등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에 금융권의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하겠다"며 생산적 금융 확대를 강조했다. 같은 날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도 "생산적 금융으로 대전환"을 다짐했지만 2금융권의 체질 변화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중소기업 대출이 담보 위주로 운용되는 현실도 걸림돌이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상호금융권 중소기업 대출의 96.5%, 저축은행의 86.4%가 담보대출이었다. 이 가운데 90% 이상이 부동산 담보였다.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시중은행은 재무제표 분석 등 기업 평가 인력과 체계가 갖춰져 있지만, 2금융권은 인적·물적 역량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결국 담보 대출 위주로 갈 수 밖에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또한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해 정책기관의 보증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재무제표가 아직 없거나 영세한 자영업자, 소기업은 보증 없이 대출이 어렵다"면서 "은행 중심인 정책기관의 대출 보증을 2금융권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상호금융권 역시 PF 부실 대출 여파로 건전성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상호금융사 한 관계자는 "업권 특성상 기업 금융과는 거리가 멀다"면서 "업계와 잘 맞지 않는 PF 등 기업대출을 확대하다가 크게 탈이 난 셈이다. 본연의 업무인 가계대출을 늘려야 하는데 그마저도 막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