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생활형숙박시설(이하 생숙)에 대한 일부 담보 대출 심사가 허술하게 이뤄져 내달부터 시작되는 대출 만기 도래 시 연체 위험이 커질 수 있단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은행권에 미칠 충격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호실을 담보로 한 대출은 사실상 차단됐고 과거 취급분도 소규모에 그쳤단 게 은행권의 설명이다. 금융당국 차원의 별도 조치는 없었지만 은행들이 대출을 제한하고 있는 만큼 전반적인 금융권 확산 가능성은 낮단 분석이 나온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여러 생숙은 최근 오피스텔이나 아파트 등으로 용도 변경되며 사실상 ‘생활형숙박시설’로서의 기능은 축소된 상태다. 분양 시장 위축과 임대 수익성 저하, 주거 수요 확보를 위한 전략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생숙이 수익형 부동산으로 각광받던 시기에는 생숙에 투자 수요가 몰리며 정식 대출이 어려운 구조에도 심사를 우회해 대출을 받으려는 시도가 적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실제로 외형상 오피스텔과 유사하다는 점을 활용해 건물 용도를 실제와 다르게 기재하거나 생숙임을 명확히 밝히지 않은 채 대출을 실행한 사례들이 보고되기도 했다. 그러면서 실제 대출 규모는 은행권의 내부 인식보다 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건물 용도를 생숙으로 기재한 경우에도 일부 금융권에서는 생숙의 운영 방식이나 수익 구조에 대한 실질적인 검토 없이, 단순히 수익형 부동산이라는 이유로 다른 상품과 동일하게 취급한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구조적 취약성과 심사 허점이 드러나 금융권은 생숙 대출에 더 보수적으로 접근하게 됐다. 생숙은 은행의 담보권(차주가 돈을 갚지 못할 경우 금융기관이 해당 자산을 회수하는 권리) 행사 시 법적한계로 실질적인 소유권확보가 어렵단 점도 이런 접근에 영향을 줬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일부 생숙은 담보 인정이 어려워 사실상 신용대출처럼 취급되지만 금리 등 대출 조건이 까다로워 실제 실행된 사례는 거의 없었을 것”이라며 “생숙은 미분양률이 높고 경매도 잘 안 돼 돈을 떼일 위험이 컸다 보니 작년엔 ‘분쟁 사례가 많은 만큼 대출을 유예해달라’는 안내를 은행 내부에 돌리기도 했다”고 말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도 “과거부터 생숙 대출은 제한적으로 심사해왔고 최근에도 보수적인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익명을 요청한 시중은행 관계자도 “과거 정식 상품으로 생숙을 취급할 때도 굉장히 제한적으로 취급했다”며 “현재도 생숙 대출을 엄격하게 취급해 관련 건수가 적다”고 설명했다.
은행들은 당국차원의 일괄 점검이나 지침 없이 자율적으로 리스크 관리를 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정부나 금융당국으로부터 생숙에 대한 사전 리스크 점검 요청이나 대응 방침을 공유 받은 적은 없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