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하 한은)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처럼 사회 각계와 정례적으로 소통하는 구조를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통화정책에 관한 사회적인 공감대와 신뢰를 높이려는 뜻으로 풀이된다.

지난 2일 김현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내고 “한은도 연준과 같이 정례적이고 다양한 사회구성원을 포괄하는 체계적인 소통 채널을 구축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이는 통화정책 방향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연준의 전략 개편 과정을 예로 들며 한은도 이런 방식으로 국민과 정례 소통을 하면서 정책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연준은 5년마다 중장기적인 통화정책 전략을 전면 재검토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Fed 리슨스’(Listens)라는 행사를 개최해 학계를 비롯한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한다.

지난 6월 마크 워너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이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통화정책 보고서 검토 청문회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증언하는 모습을 경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6월 마크 워너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이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통화정책 보고서 검토 청문회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증언하는 모습을 경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 연구위원은 “이는 경제 구조 변화에 맞춰 통화정책 체계를 개선하려는 의지를 보여줄 뿐 아니라, 개선 시 여러 경제 주체의 목소리를 아우름으로써 정책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평가했다.

그는 조만간 발표될 연준의 새로운 통화정책 틀에 대해 “(5년 전 채택된) 유연한 평균물가목표제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발생했을 때 기존 정책 기조에서 벗어나, 즉시 긴축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탈출 조항’을 명문화하는 방식으로 수정하거나 종전의 물가안정목표제로 회귀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앞으론 물가 상승이 특정 임계점을 일정 기간 초과하면 즉시 통화 긴축에 나설 수 있단 것이다. 기존 평균물가목표제는 물가가 목표 수준을 일정 기간 동안 하회하면 이 수준을 상회하는 것도 용인해 중장기 평균치를 목표 수준으로 수렴시키는 정책을 뜻한다.

그는 “두 목표(고용안정과 물가안정)가 상충하는 경우 물가안정에 더 우선 순위를 부여하겠다고 공식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2%라는 물가 목표 수준 자체가 이번 개편에서 변경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어 “파월 의장을 비롯한 연준 인사들은 2% 목표를 변경하는 것이 지난 수십 년간 쌓아온 대중의 신뢰를 훼손하고 기대인플레이션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해왔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