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표 AI 기업 NC AI가 개인 기기에서 직접 구동 가능한 초경량 고성능 멀티모달 AI ‘바르코 비전 2.0 1.7B’를 공개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단순히 새로운 모델 하나가 추가된 것을 넘어, 국내 AI 기술이 가야 할 방향과 가능성을 동시에 제시했다는 점에서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크기는 줄이면서도 성능은 글로벌 경쟁 모델을 압도한 이번 성과는 AI의 두뇌 역할을 하는 파운데이션 모델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AI 주권'을 확보하려는 국가적 과제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바르코 비전 2.0은 이미지와 텍스트를 동시에 이해하고 여러 장의 사진을 한 번에 분석해 복잡한 문서나 차트까지 해석하는 비전언어모델(VLM)이다.
핵심은 17억개라는 작은 파라미터(매개변수) 크기에도 불구하고 자신보다 덩치가 두 배 가까이 큰 모델들과 대등하거나 오히려 뛰어넘는 성능을 보였다는 점이다. 실제로 대학 수준의 지식을 평가하는 MMMU 벤치마크와 과학 차트 해석 능력을 보는 AI2D 벤치마크에서 카카오의 카나나 3B,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 3B 등 30억개 파라미터급 모델들과 동등하거나 더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모델의 크기가 성능을 결정한다는 기존 공식을 깨고 NC AI의 압도적인 기술력을 증명한 셈이다.
나아가 기술적 성취의 또다른 의미는 ‘온디바이스 AI’의 시대를 활짝 열었다는 데 있다. 바르코 비전 2.0 1.7B는 스마트폰이나 PC 등 개인 기기에 직접 탑재돼 작동한다. 이는 사용자의 민감한 데이터가 외부 서버로 전송되지 않아 완벽한 프라이버시 보호가 가능하고, 인터넷 연결 없이도 AI 기능을 실시간으로 쓸 수 있다는 뜻이다.

이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AI'나 애플의 '애플 인텔리전스'처럼 글로벌 IT 공룡들이 사활을 걸고 있는 온디바이스 AI 경쟁에 국내 기술로 당당히 참여할 수 있는 무기를 확보했다는 의미다.
한편 NC AI는 이번 모델 역시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국내 AI 생태계 전반의 성장을 꾀한다. 연구자와 개발자들은 고성능 국산 AI를 자유롭게 활용하며 기술력을 키우고, 이는 곧 국가 전체의 AI 인재 양성으로 이어진다. 해외 빅테크에 종속되지 않는 독자적인 AI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포석이다.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도전하는 NC AI의 이번 행보는 AI 기술의 자립과 대중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NC AI 이연수 대표는 "NC AI가 보여준 경량 고성능 모델 개발 능력을 통해 다양한 국내 산업군의 경쟁력을 크게 높일 것"이라며 "바르코 비전 2.0 1.7B는 AI 기술의 자립과 민주화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로 앞으로도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고성능 AI 모델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