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이 7월 28~29일, 전력 수급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한 '원전 탄력운전 기술개발' 착수회의를 진행했다. 사진=한국수력원자력
한수원이 7월 28~29일, 전력 수급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한 '원전 탄력운전 기술개발' 착수회의를 진행했다. 사진=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이 전력 수급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한 ‘원전 탄력운전 기술개발’ 사업 착수회의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원전 탄력운전’은 전력 수요가 변동함에 따라 원자력발전소의 출력을 신속하게 조절해 전력 공급과 수요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회의에는 한수원을 비롯해 한국원자력연료, 한국전력기술, 두산에너빌리티,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80여 명이 참석해 진행됐다.

이번 사업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주도로 오는 2028년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APR 원전의 노심·계통 설계부터 안전 해석 및 운전지원 계통 설계에 이르기까지, 원자력발전소 탄력운전에 필수적인 핵심 실증 기술개발을 목표로 한다.

한수원은 이 프로젝트의 총괄과 세부 기술개발을 주관한다. 전체 사업 운영 관리와 실증 기술 개발 뿐만 아니라, 원전 탄력운전 기술개발 후 발전소 실증 및 인허가를 거쳐 상용화를 위한 사업화 전략 수립에도 나설 계획이다.

신호철 한수원 중앙연구원장은 “정부 기관, 산업계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며 “원전 탄력운전 기술이 상용화되면 국내 전력 수급 안정화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