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건강기능식품과 원료에 대한 관세 정책을 실시하면서 소비자의 기능성 식품 접근성이 떨어지고 건강 형평성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최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간한 글로벌바이오헬스산업동향에 따르면, 미국의 건강 관련 품목 수입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7년부터 이 나라의 건강소비재 수입은 약 115.8% 늘어났으며, 2023~2024년에는 34.4% 상승했다. 같은 기간 처방약 수입 역시 120.4% 증가해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 건강 분야 전반에서 수입 의존도가 구조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은 식품과 의약품의 중간 영역에 위치한 소비재로, 원료 단계에서는 농산물과 기능성 추출물, 제조단계에서는 제약공정이 결합된 복합 산업 구조를 가진다. 이에 원산지·관세·통관제도 등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특정 성분에 대한 규제 여부나 인증 시스템 변화에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또한 대부분의 기능성 원료는 특정 국가에 편중돼 있어 자국 내 생산이 제한되며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다. 실제로 세계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주요 원료인 기능성 버섯, 식물성 추출물, 아미노산 등은 약 60~80%가 중국에서 공급되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건기식과 그 원료에 대한 대규모 관세 정책을 시행한 바 있다. 중국산 식물성 원료와 버섯류에는 최대 145% 관세 적용하고 기타 기능성 원료의 경우 국가별로 10~125% 수준의 관세 부과했다. 다만, 비타민과 아미노산 등 일부 성분은 제외됐다.

하지만 생선에서 추출한 기름인 어류유, 식물에서 유래한 성분, 버섯 등은 예외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업체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식물성 원료나 기능성 버섯은 자국 내 재배가 불가능하거나, 재배까지 수년이 소요되는 품목들이 많기 때문이다. 기능성 버섯 전문 기업 남멕스(Nammex)는 연 900톤의 원료를 중국에서 수입하며, 해당 품목을 미국에서 생산하려면 수십 년과 수백억 원 규모의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문제는 관세로 발생하는 비용이 고스란히 이는 소비자에게 전가돼 수요 위축과 소비자 반감이 동반되고 있다는 점이다. 소비자 가격 전가율이 90~100%에 달한다.

실제로 미국 최대 규모의 허브 추출물·기타 천연 성분 제조업체 지아허브(Jiaherb)는 자사 제품에 대해 125%의 고율 관세 중 90%를 소비자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통 중국 약초·허브 치료제를 공급하는 업체 누허브스(Nuherbs) 또한 10% 이상 가격 상승분은 대부분 소비자가 부담하고 있는 상황이다.

진흥원은 “미국은 자국 내 생산을 장려하고 공급망을 재편하고자 고율 관세 정책을 시행했지만 건기식 특수성으로 인해 효과가 제한적이다. 오히려 원가 상승은 유통마진과 광고비를 고려할 때 중소 브랜드에 더 큰 압박으로 작용한다”며 “결국 일부 제품은 생산 중단 또는 판매 포기로 이어지고 있으며, 저소득층 소비자의 기능성 식품 접근성이 감소할 수 있다. 이는 건강형평성 측면에서도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