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이 7월 11일과 12일 경남 사천 KB손해보험 인재니움 연수원에서 진행된 2025년 하반기 그룹 경영진워크숍에서 경영진을 대상으로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KB금융.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이 7월 11일과 12일 경남 사천 KB손해보험 인재니움 연수원에서 진행된 2025년 하반기 그룹 경영진워크숍에서 경영진을 대상으로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KB금융.

KB금융그룹은 올해 상반기 포용금융과 동반성장, 저출생 해소 지원 등을 통해 총 1조5871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2분기 사회적 가치 창출 규모는 8023억원이며, 1분기 실적 7848억원을 포함한 상반기 누적 금액이다. 

이 기간 KB금융은  금융취약계층을 위한 저금리 대출·금리우대 등 포용금융, 산불·수해 피해복구 지원, 저출생 극복 지원 등 지역사회돌봄 활동을 통해 2927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했다.

같은 기간 동안 소상공인·자영업자 경영부담 완화, 스타트업 등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 성장지원, 청년 일자리 창출 등 공존·동반성장 활동으로 5096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 냈다.

세부적으로는 금융취약계층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대출금리우대와 '저출생' 극복을 위한 'KB 다둥이·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 'KB아 이사랑적금' 등 다양한 저출생 관련 금융상품 등이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했다. 아울러 '소상공인 금융비용 완화 및 보증재원 출연' 등 '포용금융' 확대와 '청년 일자리 지원' 프로그램 운영도 사회적 가치 창출을 이끌었다.

KB금융은 매년 금융·비금융 부문에서 ESG 경영활동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화폐 가치로 산출해 사회적 가치 성과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고객, 주주·투자자,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매 분기별로 사회적 가치 성과를 공개한다.

KB금융의 사회적 가치는 사회공헌 활동에서 발생하는 가치인 비금융 부문과 금융업 본연의 역량을 활용해 금융상품·서비스에서 창출하는 가치인 금융 부문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KB금융은 사회적 가치 측정 5대 원칙을 기반으로 공신력 있는 연구기관의 기준값과 검증 가능한 방법론을 적용해 사회적 가치 성과를 측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비금융 부문에선 소상공인 자영업자 경영지원, 청년 일자리 등 자립지원, 서민과 취약계층 생활 지원, 금융소비자 보호 등 삶의 가장가까운 곳에서 필요한 가치들을 포괄해 성과를 산출한다.

KB금융 관계자는 "따뜻한 금융으로 국민과 함께 성장하며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가기 위해 KB금융은 앞으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더 많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KB국민은행은 포용금융 강화를 위해 전담조직인 ‘포용금융부’를 신설했다. KB금융은 지난 18일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지역사회 복구를 위해 20억원의 성금을 기부하고 긴급 지원 활동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