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6·27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80%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대출 규제와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이 맞물리면서 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선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이 같은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1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규제 실행일인 6월 28일부터 7월 16일까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637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규제 시행 전 같은 기간(6월 9~27일) 8198건 대비 80% 감소한 수치다.

자치구별로는 성동구가 578건에서 47건으로 91.9% 급감하며 감소율이 가장 높았다. 마포구도 495건에서 46건으로 90.7% 줄었고, 동작구는 457건에서 47건으로 89.7% 감소했다.

강남권 역시 거래량이 크게 줄었다. 서초구는 181건에서 18건으로 90.1% 감소했다. 강동구는 681건에서 74건으로 89.1%, 강남구는 350건에서 88건으로 74.9%, 송파구는 390건에서 145건으로 62.8% 줄었다. 실거래가 신고 기간이 한달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감소폭은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거래 위축 흐름은 뚜렷한 것으로 분석된다.

6월에는 7월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을 앞두고 막판 매수세가 몰리는 양상을 보였다. 여기에 새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도 더해지면서 아파트값 상승률이 가파르게 올랐다. ‘더 늦으면 내집을 마련하지 못한다’는 포모(FOMO·fear of missing out) 현상이 나타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정부는 집값이 치솟자 지난 6월 27일 수도권·규제지역 내 주택 구입 목적 주택담보대출 최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주담대를 받을 경우 6개월 내 전입신고를 의무화하는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발표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도 규제 발표 이후 둔화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7월 둘째주(1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9% 올라 전주(0.29%) 대비 상승 폭이 축소됐다. 6월 넷째 주 0.43%까지 치솟았던 상승률이 규제 발표 이후 3주 연속 줄었다.

부동산원은 "일부 신축·역세권 단지 등에서는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매수 관망세가 심화하면서 거래가 감소하는 등 전체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업계에서는 당분간 관망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번 대출 규제에 대해 "맛보기에 불과하다"며 추가 규제 가능성을 예고한 만큼 수요자들은 당분간 매수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서울·수도권 주택시장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짙은 관망세에 접어든 모습"이라며 "정부의 강경한 정책 기조에 따라 대출 가능 여부에 따른 자금 계획 수립 등으로 혼란스러웠던 초기 국면은 다소 진정됐지만 강도 높은 규제의 여파로 기존 매물의 호가가 일부 조정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6·27 대책처럼 고강도 규제책이 나오면 묻지마 매수를 하려는 사람들이 일단 나중에 사야겠다는 생각에 관망세로 접어든다"라며 "고가주택은 3~6개월, 나머지 중저가 주택지역은 1~2개월 조정양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은 관망세를 보이고 있는데 추가적으로 규제가 나오면 시장이 바뀔 수는 있어 아직은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