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과 배달 분야 온라인 플랫폼의 확산이 자영업자 양극화를 두배 이상 악화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관련 보고서를 보면 소매업의 매출액 하위 20% 대비 상위 20% 비율인 5분위 분배율은 2018~2019년 109.9배에서 2022~2023년 235.5배로 크게 늘었다. 이는 매출액 상위 20% 자영업자가 하위 20%에 비해 235.5배 더 번다는 뜻이다. 4년 새 양극화가 2배 이상 커진 셈이다. 양극화 지표인 자영업체 5분위 분배율(하위 20% 대비 상위 20% 매출액 배율)은 음식업이 31.1배에서 34.8배로 상승했다.
한은은 쿠팡과 네이버 등 유통 플랫폼과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등 배달플랫폼을 거론하며 “온라인 플랫폼의 등장은 대면 서비스의 공간 제약을 크게 완화해 이들의 매출을 늘렸다”며 “반면 기술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타 업체의 경영은 악화시켰다”고 지적했다. 특히 배달플랫폼 등장에 따라 음식업의 경쟁이 심화돼 자영업 폐업이 증가했다. 지역 내 음식점 매출에서 배달앱 매출 비중이 10%포인트(p) 상승할 때 인구 1만명당 음식업 자영업자 수는 3.4명 감소했다.
한은이 정부의 자영업 금융지원 효과를 분석해보니 매출 개선 효과는 창업 초기와 소규모, 청년층 업체에 집중됐다. 반면 나머지 업체는 폐업할 확률만 유의미하게 내려갔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광주에서 열린 ‘2025년 BOK 지역경제 심포지엄’에서 “성장 잠재력이 큰 자영업자를 신중하게 선별해 충분히 지원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안전망을 강화해 경쟁에서 밀려난 자영업자의 재기를 도모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자연스러운 전업도 유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