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계를 대표하는 전국 상공회의소 회장단 대다수가 새 정부 출범 이후 경제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전망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미래 첨단산업 육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새정부 최우선 과제로 꼽으며 구조적 해법 마련을 당부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74개 상공회의소 회장을 대상으로 실시한 '새 정부에 바라는 경제정책' 설문조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새정부 출범 후 향후 5년간 경제성과에 대해 응답자 72%가 '기대된다'고 답했다. '보통이다' 17%, '우려된다' 11%로 집계됐다.

경제회복 시기에 대해서는 '내년 상반기'라는 응답이 25%로 가장 많았다. ▲내년 하반기 20% ▲내후년 이후 10% 순이었다. '회복 시기를 가늠할 수 없다'는 응답도 45%에 달해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부총리 후보자 기자간담회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가 29일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 대강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경제부총리 후보자 기자간담회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가 29일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 대강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국 경제상황과 비교한 지역경제 체감경기에서는 '지역경제 상황이 더 나쁘다'는 응답이 65%로 압도적이었다. ▲비슷하다 27% ▲ 더 낫다 8%로 지역경제의 상대적 부진이 뚜렷했다.

지역경제 활성화 저해 요인으로는 ▲인재유출 및 인력수급 애로(22%) ▲경영활동에 대한 과도한 규제(22%) ▲지역 선도산업 부재(22%)가 동률로 1위를 차지했다. ▲기존 주력산업 쇠퇴(15%) ▲행정지원 미흡(13%) 등이 뒤를 이었다.

새정부 최우선 경제정책으로는 ▲미래 첨단산업 육성(28%)과 ▲지역경제 활성화(28%)가 공동 1위를 기록했다. ▲법·제도 개선(20%) ▲대외통상 전략 수립 및 실행(10%) ▲소비 진작 정책(7%) 순으로 집계됐다.

사진=LG CNS
사진=LG CNS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인공지능(AI)·스마트 공장 확대를 통한 제조혁신과 중소·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을, 충청권은 중소기업 글로벌화를 위한 R&D 지원과 산업 전문인력 교육시스템 구축을 제시했다.

경상권은 수소경제·AI 기반 산업·푸드테크 등 신산업 육성과 제조업 고도화를, 호남권은 AI데이터센터 구축과 식품산업 등 특화산업 육성을 우선과제로 꼽았다.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소비심리와 기업들의 투자의지가 조금씩 살아나고 있다"며 "낙후된 주력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사업재편과 지역 맞춤형 산업 고도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주봉 인천상의 회장은 "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주체로 경제계도 최선을 다하겠다"며 "소비와 투자가 함께 돌아가는 선순환 구조를 위해 새정부의 속도감 있는 경제정책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상의 회장단은 이번 경주 하계포럼에서 오는 10월 APEC CEO 서밋 성공 개최를 위한 지원 의지도 재확인했다.

이윤철 울산상의 회장은 "APEC은 대한민국을 전세계에 알릴 중요한 기회"라며 "전국상의의 역량을 총집결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