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 27일 대출 규제 이후 서울 임대시장에서 '전세의 월세화'가 가팔라진 모습이다. 주택담보대출 6억원 제한과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 금지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집주인과 세입자 모두 월세를 선호하는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14일 기준 서울 아파트 월세 물량은 1만9189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대출 규제가 발표된 지난달 27일(1만8796건) 대비 393건(2.1%) 증가한 수치다. 반면 같은 기간 전세 매물은 2만4855건에서 2만4672건으로 0.7% 감소했다.
정부는 지난달 27일 수도권과 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 상한을 6억원으로 제한하고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을 금지하는 내용의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발표했다. 또 주담대를 받을 경우 6개월 내 전입신고를 의무화하도록 했다.
전세금 반환용 주택담보대출(전세퇴거자금대출) 한도도 최대 1억원으로 제한됐다. 집주인과 세입자 모두 현금 마련 부담이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월세를 선호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여기에 21일부터는 수도권 전세대출 보증비율이 기존 90%에서 80%로 축소된다.
전방위적인 대출 규제로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는 꺾였다. KB부동산 주간 아파트 시장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수우위지수는 7월 7일 35.60으로 대출 규제 전인 6월 23일 99.35보다 63.75포인트 하락했다. 매수우위지수는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현장의 매수자와 매도자 비율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100 미만이면 매도자가 매수자보다 더 많다는 의미다.
전세 거래도 위축됐다. 전세거래지수는 7월 7일 22.04로 6월 23일 39.68보다 17.64포인트 하락했다. 전세거래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초과하면 활발, 미만이면 한산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세 사기 여파로 임차인들이 월세를 선호하는 추세가 확산되는 가운데 대출 규제까지 겹치면서 월세화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도 월세화를 가속화할 수 있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금리가 내려가면 임대인들이 전세금을 받아 운용하기 보다는 월세를 받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올해 입주 물량이 지난해보다 줄었고, 지난해 말부터 금리가 인하되면서 보증금을 은행에 넣어두기보다는 월세를 받는 게 임대인 입장에서 유리해졌다"라며 "여기에 주담대 6억원 한도 제한과 6개월 내 실입주 의무화 등 규제가 겹치면서 월세화가 빨라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