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열, 파문, 그리고 그 밖의 것들. 그것들은 오랜 시간의 흔적이자, 지나간 삶의 감각이다. 설고은 작가는 도시 곳곳에서 마주한 균열과 침식의 장면들을 수집해 한 화면 위에 겹쳐냈다. 트레이싱지 위에 옅은 선으로 그려진 흔적들, 현무암 위에 떠 있는 잿빛의 회화들은 시간의 잔재처럼 자리 잡는다. Hall 1에서 열리는 개인전 《Cracks, Ripples, and What Not》은 상실 이후의 풍경을 조용히 응시하는 시도다.
설고은 개인전 ‘Cracks, Ripples, and What Not’이 7월 24일까지 서울 영등포구 Hall 1에서 열린다. 전시는 5일부터 시작됐다.
서울문화재단 2025 예술창작활동 지원사업에 선정된 이번 전시는 대형 드로잉 53점과 신작 회화 17점으로 구성된다.
설고은 작가는 2024년 9월부터 2025년 6월까지 베니스, 서울, 광주 등지에서 도시와 자연의 침식 흔적을 기록한 사진을 바탕으로 이번 작업을 완성했다.
작품은 전통적인 전시 방식에서 벗어나 공간과 시간의 감각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드로잉은 얇은 트레이싱지에 옅은 하늘색 선으로 그려졌으며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회화는 탈색된 회색조로 구성되어 현무암 블록 위에 놓이며, 마치 바닥 위에 떠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바닥의 실제 균열과 회화 표면의 이미지가 시각적으로 교차하며, 전시장은 시간의 레이어가 겹쳐진 하나의 장면처럼 구성된다.
작가는 “이번 전시는 한 개인의 역사에서 빛나는 순간이 지나가고 나서 삶은 어떻게 이어지는지, 우리는 지나쳐온 시간을 어떻게 회고해야 하는지 스스로에게 던진 질문에서부터 출발한다”고 전했다.
김진주 큐레이터는 “설고은은 상실을 떠올리게 한 건물, 바닥, 돌, 나무 등 거리 곳곳의 흔적들을 사진으로 찍고 디지털 툴로 편집해 단순화한 뒤, 이를 각각의 레이어로 만들었다. 출처와 모양이 다른 층들은 트레이싱지를 경유해 겹치고 겹쳐 하나의 화면이 되었으며, 화면들은 다시 바닥과 벽을 점유하며 모종의 사건처럼 모였다. 서로가 서로를 축적하면서 말이다.”고 해설했다.
이해하자면 이런 거다. 바닥에 깔린 하얀 타일. 틈이 생기면, 뭔가로 채워지면서, 다른 무언가가 된다. 하지만 여전히 같은 무언가다. 우리 평범한 삶이 그렇듯.
설 작가는 1994년생으로 시카고 대학교와 서울대학교에서 수학했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NO POINT OF CONTACT≫(2024), 《AFTER, IMAGE》(2022)가 있으며, 《계란부터 사과까지》(2023), 《원본없는 판타지》(2023)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현재는 광주시립미술관 국제레지던시에 입주 중이다.
Hall 1의 관람 시간은 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정오부터 오후 7시까지다. 관람은 무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