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의 야심작인 로보택시가 텍사스 주에서 첫 선을 보였다. 외신들은 아직 로보택시가 공항을 이용할 수 없으며 아직 부족한 모습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24일 파이낸셜타임스, CBS 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 22일(현지시각) 로보택시를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10대 가량 선보였다. 가격은 4.20달러의 정액제로 책정됐다.

다만 아직 공항 등에 진입할 수 없음에도 서비스가 일부 인플루언서에게만 공개된 점은 아쉬운 점으로 꼽혔다.

테슬라 로보택시. 사진=테슬라
테슬라 로보택시. 사진=테슬라

서비스를 체험해본 인플루언서들은 인상적이라는 반응을 남겼다. 한 테스터는 "로보택시가 비보호 좌회전 대신 안전을 위해 우회전해 로터리를 돈 후 주행을 이어가는 모습을 보였다"며 "안전 운전자들은 운전에 개입하지 않고 오직 관찰만 하며, 런칭의 안전하고 순조로운 진행을 돕는 역할을 한다"고 전했다.

또다른 테스터는 "제한 속도 35마일 구역에서 주행하며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며 "신호등이 초록불로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앞 차들이 움직이지 않자 여전히 정지한 상태를 유지했다"고 말했다.

다만 외신들은 후발주자인 테슬라에게 비판적이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테슬라가 미국에서 유일하게 완전 공개 자율주행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웨이모를 따라잡을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며 "테슬라의 기술은 웨이모와 다른 경쟁사에서 사용하는 더 비싼 레이더 및 라이다 센서에 비해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세트에만 의존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CBS도 테슬라가 지난해 10월 이후 국가 고속도로 교통 안전 관리국(NHTSA)의 조사를 받고 있는 상태라며 자율주행차가 정부 관료와 시민단체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다고 비판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 경영자(CEO)는 "이 순간은 10년간 노고의 정점"이라며 "고객이 4.20달러의 정액 요금을 지불하는 것으로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