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꿈치는 우리 몸에서 많은 운동을 하는 관절 중 하나이다.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팔꿈치 관절에 무리가 가 근육이 뭉치거나 염증이 발생하여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통증이 생기면 흔히들 골프 엘보나 테니스 엘보를 생각한다. 골프 선수나 테니스 선수들에게 주로 발생한다고 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지만,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팔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을 가진 일반인에게도 흔히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실제로 무거운 물건을 많이 들거나 컴퓨터 작업량이 많아 손목과 팔꿈치에 부담이 많이 가해지는 직업일 경우, 팔꿈치 통증을 경험하기 쉽다. 또한, 여러 도구를 사용해 반복적으로 손을 움직이는 목수, 요리사, 주부 등도 팔꿈치 질환에 취약한 직업군이다.
팔꿈치 통증의 증상은 처음에는 일상생활은 가능하나 특정 동작에서만 통증을 느끼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운동하거나 무거운 것을 들 때, 혹은 빨래를 털 때 통증이 생길 수 있다. 그러다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정도로 통증이 평상시에도 생기게 되며, 더 진행되면 통증이 심해 일상생활이 어려워지는 단계에 이를 수 있다. 통증이 심해지기 전에 병원을 찾아야 하는 이유는 팔이 아프면 목이나 어깨를 사용하게 되어 치료 기간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통증이 손목에도 발생하여 저리거나 화끈거릴 수 있으며, 주먹을 쥐고 손목을 움직이거나 돌릴 때 팔꿈치 안쪽에서 통증이 느껴질 수 있다. 물건을 들거나 미는 동작을 할 때 팔꿈치 안쪽에서 통증이 생기기도 한다. 통증의 원인은 다양하며, 과도한 근육 사용으로 염증이 발생한 후 낫지 않고 반복되는 경우 석회화 증상까지 이어져 근육에 돌처럼 석회질이 쌓일 수 있다.
팔꿈치 통증의 치료는 통증의 정도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치료법을 시행할 수 있다. 팔꿈치 근육 통증이 발생했을 때 첫 번째로 중요한 것은 충분한 휴식이다. 무리한 동작을 피하고 팔 사용을 줄이면 염증이 자연스럽게 완화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찜질을 통해 염증과 부기를 줄일 수 있다. 물리치료는 근육의 유연성을 회복하고 염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며, 전문적인 스트레칭과 마사지 또한 도움이 된다.
약물치료로는 염증을 줄이는 소염제와 통증을 줄이는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다. 통증이 매우 심한 경우, 스테로이드 주사나 PRP(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치료를 통해 염증을 완화할 수 있다. 이러한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되지 않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수술은 마지막 수단으로, 비수술적 치료로 통증 호전이 없을 경우 생각해 볼 수 있다. 수술 후 통증은 수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재활치료도 잘 받는 것이 중요하다.
팔꿈치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팔꿈치에 무리를 주는 동작을 피하고, 팔 사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초기 증상을 가볍게 여기지 말고 적절한 치료와 관리로 상태를 개선해야 한다. 통증이 만성화되면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통증이 생기면 가능한 빠르게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 충분한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